정치

“기자 출입 제한 논란”…국민연금공단 국감장, 뒤늦게 취재 허용

배주영 기자
입력

정치적 견제와 언론의 알 권리를 둘러싸고 국민연금공단과 국회, 취재진 간 갈등이 빚어졌다. 국민연금공단이 24일 국정감사장에서 취재진 출입을 일방적으로 차단했다가 논란 끝에 다시 출입을 허용하는 혼란이 벌어졌다. 국회의 요청이라는 공단 측 해명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과 야당이 강하게 반박하면서 논쟁의 불씨가 이어졌다.

 

24일 오전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본부에서 진행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 현장. 공단 측은 “국회방송을 빼고는 못 들어간다”며 감사장 문을 걸어 잠그고 타 언론의 현장 접근을 전면 봉쇄했다. 취재진은 별도의 회의실에서 스크린으로 중계만 시청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국정감사 특성상, 마이크가 꺼질 때 예기치 않은 발언이나 고성, 의원 간 언쟁 등은 영상 중계로 모두 파악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현장에 남는 쪽지, 비공식 대화, 기관장의 낙제 태도 등도 제대로 취재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공단 측은 출입 통제의 이유를 “국회 복지위 행정처의 요청”이라고 해명했다. 공단 관계자는 “감사장이 협소하고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밝히며, 국회 전체 차원의 요청이 있었던 것으로 선을 그었다. 그러나 출입 제한이 1시간 이상 지속되자, 이 사실이 언론을 통해 알려졌고 국회와 야당에서 바로 반발했다.

 

당일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은 “국회는 출입 제한을 요청한 적이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 역시 “언론인의 출입을 막을 아무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지적했다. 양측 모두 국민연금공단이 책임을 국회에 떠넘긴 셈이라고 해석하면서, 정치권과 언론계 모두 출입 제한의 경위와 명분을 따져 물었다.

 

논란이 확산되자 국민연금공단은 출입 제한 조치의 배경을 바꿔 설명했다. 공단 측은 “기자 출입 제한은 국회의 요청 때문이 아니라, 감사장 안전 문제와 내부 실무 소통 과정에서 오해가 빚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현재는 출입 제한을 풀고 정상적으로 기자들이 취재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덧붙였다.

 

이보다 앞서 국회 등 공적 기관에서 감사장 언론 접근이 이처럼 논란이 된 것은 드문 사례다. 언론계는 현장 취재가 차단될 경우 국정감사의 투명성 확보와 국민의 알 권리가 훼손될 수밖에 없음을 질타했다.

 

이날 국회는 국민연금공단의 출입 제한 조치 경위를 둘러싸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다. 향후 국정감사장 언론 출입 원칙과 기관의 책임 소재를 놓고 여야와 유관 기관 간 논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배주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연금공단#국정감사#국회보건복지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