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차명거래 의혹 재점화”…이춘석, 경찰 소환 일정 조율에 정국 파장
차명 거래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과 사정당국이 정면 충돌하면서 이춘석 의원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경찰은 이 의원의 주식 거래 논란이 불거진 직후 전방위 압수수색에 이어, 핵심 피의자인 보좌관 등 관련자를 이틀 연속 불러 고강도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와 향후 소환 여부를 두고 여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12일 차모 보좌관과 의원실 관계자 등 총 8명을 전날 소환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특히 차모씨는 전날 오후 7시부터 6시간에 걸친 1차 조사에 이어 이날 저녁 다시 경찰에 출석했다. 경찰은 보좌관 명의 계좌를 활용한 주식거래 과정에서 이춘석 의원의 직접 개입 여부, 자금 출처, 그리고 폐기된 서류의 경위까지 구체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 관계자는 “확보된 압수물은 물론, 차명 주식거래가 의심되는 계좌에 대해서도 면밀히 분석 중”이라며 “이춘석 의원 소환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의 수사 대상은 금융실명법과 이해충돌방지법 위반 혐의 등을 포함한다. 차모 보좌관은 출국금지 조치된 핵심 피의자로 지목돼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이춘석 의원 역시 본격적인 소환 조사가 임박한 것으로 관측된다. 주요 증거로는 압수수색 당시 발견된 차씨 명의 수첩, 주식 투자 자금의 흐름, 그리고 지난해 10월 이 의원이 국회 국정감사 도중 차씨 계좌로 주식거래를 한 정황이 포함된다.
이춘석 의원은 지난 4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차모 보좌관 명의로 주식을 매매하다 언론 카메라에 포착됐다. 해당 주식은 인공지능 관련주인 네이버와 LG씨엔에스였으며, 이 의원이 국정기획위원회 경제2분과장을 맡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과의 이해충돌 문제도 잇따라 제기됐다. 이 의원 측은 “휴대전화를 잘못 가져갔다”며 해명에 나섰으나, 여야를 가리지 않고 책임론과 윤리 강화론이 정치권에 확산됐다.
이와 별개로, 경찰은 지난해 10월 7일 이춘석 의원이 정부세종청사 국정감사장에서 차씨 명의 계좌로 주식을 거래한 의혹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7일 안용식 금융범죄수사대장을 팀장으로 변호사, 회계사 등 전문 인력이 포함된 총 25명 규모의 전담 수사팀이 꾸려졌다.
정치권은 이번 사안을 두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일부 여당 의원들은 “입법부 신뢰를 훼손하는 심각한 도덕적 해이”라며 강경 대응을 요구했고, 야권 일각에서는 “명백히 소명할 사안”이라고 맞섰다. 한 정치평론가는 “정책 정부 역할과 개인 재산증식 의혹이 맞물린 만큼 사법적 책임과 별개로, 정치 도의적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국회는 주식 차명거래 의혹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다. 경찰은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증권계좌 추적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조만간 이춘석 의원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