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저 이전 특혜 의혹 강제수사 착수”…특검, 김건희 구속 직후 압수수색 확대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을 둘러싼 수사전이 다시 불붙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를 구속한 직후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을 겨냥한 대대적인 강제수사에 돌입했다. 대통령실 관저 이전에 관여된 핵심 인사들의 책임 소재와 불법 하도급 정황이 연일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정치권 전반에 긴장감이 고조되는 모습이다.
특검팀은 8월 13일 발표를 내고 “관저 이전과 관련해 인테리어업체 21그램 등 관련 회사 및 관련자 주거지 등에 대해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등 혐의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압수수색 대상에는 대통령실 관저 이전 실무를 총괄했던 김오진 전 국토교통부 차관의 자택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21그램 외에도 관련자 주거지 등 다수의 장소가 강제수사의 표적이 됐다.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은 윤석열 전 대통령 취임 이후 대통령실과 관저의 이전, 증축 과정에서 무자격 업체 21그램이 공사를 맡고 다수의 하도급 업체가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했다는 정황이 핵심이다. 21그램은 김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의 전시회를 후원하고 사무실 설계에도 참여한 업체다. 이 회사를 둘러싸고 김 여사와의 친분이 공사 수주에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이어진다.
참여연대는 2022년 10월, 대통령실 이전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 몰아주기 의혹과 재정 낭비의 문제를 제기하며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했다. 감사원은 2024년 9월, 21그램이 계약 체결 이전에 이미 공사에 착수했으며 무자격 15개 업체에 하도급 공사를 맡긴 점을 지적한 감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후 행정안전부가 경찰에 21그램을 고발했고, 서울 용산경찰서가 수사에 착수해 특검팀으로 사건을 넘긴 바 있다.
정부 책임자의 증언도 다시 주목받고 있다. 김오진 전 차관은 인수위와 경호처 등을 통해 업체를 추천받았다고 해명하면서, 지난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가 21그램을 추천한 사실은 없다”고 밝혔으나, 업체 선정 경위와 관련한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또 21그램 대표 김태영의 배우자가 건진법사 의혹, 샤넬백 전달 과정 등에 연루됐다는 사실도 추가적으로 공개됐다.
정치권에서는 특검의 이번 대규모 압수수색을 두고 김 여사 신병 확보 이후 수사의 전방위적 확대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잇따른다. 서울중앙지법이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등 혐의로 김 여사 구속영장을 발부한 지 하루 만에 전방위 수사로 번지는 양상이다.
야당은 “대통령실 핵심부의 특혜 연루가 사실로 드러난다면 국정 불신의 결정적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여당 일각에서도 “수사 결과를 지켜보겠다”며 공식 입장 표명을 삼가는 분위기다. 하지만 정치권, 시민단체, 언론은 “관저 이전 의혹이 단순 위법 여부를 넘어 정권 실세들 간 유착 의혹을 던지고 있다”는 평가에 힘을 싣고 있다.
이날 국회는 관련 이슈를 두고 여야가 정면충돌 양상을 보였으며, 수사 확대에 따라 정치적 파장 역시 확대되고 있다. 특검팀은 관저 이전 특혜 의혹 외에도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공천개입, 청탁 등 주요 수사를 병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