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대비 지휘부 줄소환”…내란특검, 안성식 전 해경 기획조정관·방첩사 전 2인자 소환
비상계엄 대비 내란 부화수행 혐의를 둘러싼 내란·외환 사건 수사가 고조되는 가운데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해양경찰청과 방첩사령부 전·현직 지휘부를 줄줄이 소환했다. 내란특검과 주축 인사들이 맞붙으면서 정치권과 국방 라인에 강한 긴장감이 번지고 있다.
15일 오전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안성식 전 해양경찰청 기획조정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안 전 조정관이 지난해 비상계엄 선포 직후 화상회의에서 "직원들의 총기 휴대와 합동수사본부 수사 인력 파견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행위에 집중했다. 또, 계엄 사범 수용을 위해 유치장 정비를 지시했다는 의혹과, 방첩사령부와 기밀 문건을 주고받으면서 계엄사령부 편성 계획 개정에 관련됐다는 정황에 대해 캐물었다.

이 과정에서 방첩사가 2023년 초 내부 규정을 바꿔 계엄 선포 시 해경 인력을 자동 파견하도록 한 내용이 드러났다. 해경은 이 문건을 근거로 보안과와 정보과 등 22명을 합동수사본부에 파견하려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특검팀은 작년 8월 안 전 조정관의 관사, 자택, 해경 본청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지난달에도 해경 보안과 추가 압수수색, 전 해경 보안과장 등 핵심 인물을 연이어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후에는 소형기 육군사관학교 교장(소장)도 참고인으로 소환했다. 소 소장은 2023년 11월까지 방첩사 참모장으로 재직하며,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을 보좌해 방첩사 실질 2인자 역할을 해왔다. 특검팀은 소 소장에게 방첩사 내부 규정 개정 과정과 방첩사 관여 의혹 전반을 집중 캐묻고 있다. 방첩사는 또 드론작전사령부의 평양 무인기 투입 등 대북 작전에 참여했다는 별도 의혹도 받고 있다.
이보다 앞서 지난 13일에는 무인기 작전과 관련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다시 불렀다. 방첩사 관련자 수사는 지난 1일 임경민 전 참모장, 박성하 전 기획관리실장에 대한 조사로도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 안팎에선 이번 소환이 계엄 대비 실행 세력의 실체 뿐 아니라, 국가안보 라인 내 권력 구조 해명에까지 영향을 미칠 거란 분석이 나온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방첩사·해경 핵심 인사 소환을 이어가면서, 향후 진상규명과 수사진행에 정치적 파장이 확산될지 주목된다.
특검팀 관계자는 "계엄 대비 체계 개편 과정에 중대한 위법성이 있는지 면밀히 살피고 있다"고 전했다. 정부는 향후 추가 소환과 압수수색 등 조사 확대를 검토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