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선업 부흥 패키지”…김정관 산업장관, 수십조원 규모 ‘마스가’ 프로젝트 제안
한미 양국이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는 관세 협상을 앞두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에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를 전격 제안했다. 수십조원 규모에 이르는 한미 조선산업 공동협력 패키지가 공식화되며, 두 나라 경제·외교 기류에 중대한 변수로 떠올랐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김정관 장관은 7월 25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미국 하워드 러트닉 장관과 만나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구호 아래 MASGA 프로젝트를 담은 한국 정부의 협력 구상을 설명했다. 관세 협상의 최종 시한으로 제시된 8월 1일을 앞두고 열린 이번 협상 자리에서 김 장관은 패널 자료까지 준비해 “한국 민간 조선사들의 미국 현지 대규모 투자와 대출·보증 등 금융지원이 결합된 패키지”라고 강조했다. 이 구상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 슬로건 ‘MAGA’에 ‘Shipbuilding’을 합쳐 이름 붙여진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 한국은 미국에 수백억 달러, 즉 한화 수십조원대의 금액을 제안했다. 특히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국내 주요 공적 금융기관이 대출과 보증 등 금융 지원에 참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정부 당국자는 “향후 협상 과정에서 투자·지원 규모 등은 조정될 수 있으나, 지금까지 미국 내 조선 산업 재건을 원하는 미국 측에 실질적 돌파구가 될 한국측 패키지 제안이 처음 구체화됐다”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 역시 이번 MASGA 프로젝트 제안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도 26일 공식 자료를 통해 “미국 조선 분야에 대한 미측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고, 양국 간 조선 협력을 포함한 상호 합의 가능한 방안을 만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미 산업장관 간의 직거래 협상은 관세 갈등의 해법을 찾는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미국은 전략 경쟁국인 중국과 조선산업 세계 1위 지위를 놓고 경쟁 중인 한국을 주요 협상 파트너로 주목해 왔다. 업계 안팎에서는 한국이 ‘미국 조선업 부흥’이라는 미국 내 정치 구호와 실익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킨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관세 협상 시한이 임박한만큼, 한미 조선 산업 협력 패키지가 미국 내 법·제도 개선과 연계돼 실질적 도약의 계기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관세 이슈를 둘러싼 협상이 마무리되면, 조선 산업 투자 협력도 본격 구체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