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우주반도체도 국산화 승부”…이장우 대전시장, 공급망 구축 협약 나섰다
국방·우주 반도체 공급망을 둘러싸고 지자체와 연구기관, 방산 기업이 맞붙었다. 대전시가 지역 기반을 활용해 국가 안보 핵심 기술 내재화에 나서면서 반도체 주권 전략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전시는 11월 18일 한국과학기술원 KAIS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한화시스템, 대전테크노파크와 국방·우주 반도체 국내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은 대전시가 주도했고, 국방·우주 분야에 특화된 반도체 기술을 지역 기반에서 키우겠다는 구상 아래 마련됐다.

협약 기관들은 국방·우주 반도체의 국산화와 성능 고도화를 위한 공동 연구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더불어 공정개발과 제조를 수행할 수 있는 공공 팹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전 주기를 포괄하는 협력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연구개발에서 생산, 인력까지 하나의 생태계로 묶어 안정적인 공급망을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KAIST와 ETRI는 고성능·고신뢰도 반도체 설계와 핵심 원천기술 확보에, 한화시스템은 국방·우주 분야 수요를 반영한 적용·사업화에 각각 강점을 갖고 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여기에 대전테크노파크가 기업 지원과 인력 양성, 산업 생태계 조성 역할을 맡으면서,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한 특화 클러스터 구상이 구체화되고 있다.
협약 기관들은 새로운 우주산업에서 요구되는 반도체를 해외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공급망으로 확보하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국방·우주용 반도체는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돼 공급 차질이 곧 안보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급망을 국내로 다변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수출 산업으로까지 키우겠다는 복안도 담겼다는 해석으로 이어진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속 가능한 국방·우주 반도체 생태계가 대전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전을 과학기술과 방위산업의 결절점으로 키우겠다는 구상을 꾸준히 강조해 왔으며, 이날 협약도 그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정치권에선 국방과 우주 산업을 둘러싼 기술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방정부 주도의 공급망 구축 시도가 향후 중앙정부 정책과 맞물리며 확대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첨단 산업의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대전시 협약 모델을 다른 지자체로 확산하는 방안도 검토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대전시는 협약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각 기관의 역할 분담과 공공 팹 구축 방식, 재원 조달 구조 등이 협의 대상에 올라 있으며, 정부 지원 연계 방안도 함께 논의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정부는 국방·우주 반도체를 비롯한 전략 산업 공급망 강화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향후 관련 예산과 입법 과제를 둘러싸고 본격 논의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