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전산망 92.8% 복구”…행안부, 보훈통계 포함 정상화 발표
정부 전산망의 대규모 장애 사태가 빠르게 진정 국면을 맞고 있다. 지난 화재로 중단됐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의 IT 시스템 709개 중 92.8%에 해당하는 658개 서비스가 복구돼, 정보 인프라 안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3일 오후 5시 기준 복구 시스템이 이틀 전보다 2개 더 추가돼, 범정부 전산망의 운용 정상화에 중요한 전기를 맞았다고 밝혔다. 업계는 최근 장애가 '공공 IT·데이터 인프라 안전성 경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무 핵심 시스템 가운데 국가보훈부의 보훈통계, 법제처의 지능형 법령 서비스 플랫폼이 새롭게 가동을 시작했다. 전체 복구 현황을 등급별로 보면, 1등급(최고 중요도) 시스템 40개는 모두 100% 복구됐고, 2등급 68개 중 64개(94.1%), 3등급 261개 중 242개(92.7%), 4등급 340개 중 312개(91.8%)가 각각 정상 가동 중이다.

이번 장애는 국가 중추 행정망의 취약성이 드러난 사례로, 데이터 백업·이중화 체계의 보강 필요성이 부각됐다. 복구에 적용된 기술은 실시간 재해 복구 솔루션과 다중 분산 백업 방안 등으로, 시스템 장애 감지·전환 시간을 종전 대비 대폭 단축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존 복구 프로세스와 비교해 중단 시간 최소화, 서비스 우선순위 지정 등에서 효율성이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이번 사태로 각 부처·기관의 비상 대응체계, 백본망(Backbone network) 관리 방식 재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정보 인프라 복원력은 공공서비스 안정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복구 과정의 체계적 매뉴얼 확립 요구가 커지고 있다.
해외 주요국 역시 공공 전산망에 대한 내진 설비, 재난복구 계획(RTO/RPO 기준) 고도화에 투자하고 있다. 미국·일본 등의 정부는 클라우드 기반 유연화, 데이터 자동 동기화 등 첨단 복구 기술을 도입해 예측 가능한 장애 관리 체계를 강화해 온 바 있다.
한국 정부도 정보화 영역 규제 및 인증 기준(전자정부법, 정보보안 5등급 등)을 중심으로 복원 성능과 이중화 전략을 재정비하고 있다. 재난시 대비 플랜, 데이터 센터 이원화 등의 제도적 후속 조치도 진행되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정부 전산망의 복구와 비상 체계 구축이 공공 IT 인프라 투자와 직결돼 있다”며 “아직 남은 시스템의 신속한 정상화 여부가 신뢰 회복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복구가 실질적 시스템 회복력 향상으로 이어질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