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군 인터넷 해킹 시도 9천건 돌파”…유용원, 대통령 직속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촉구
상반기를 넘기며 군 사이버 방어 체계에 비상이 걸렸다. 북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이버 공격 시도가 급증하면서,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과 사이버작전사령부가 치열한 방어 논의에 나섰다. 군 인터넷·홈페이지를 겨냥한 침해 시도가 올 들어 9천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며, 군내 정보 자산 보호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됐다.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 의원이 사이버작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반기 군 인터넷 대상 사이버 침해 시도는 총 9천262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홈페이지 침해가 9천193건, 해킹 메일이 69건을 차지했다. 2021년 전반기 6천146건, 2022년 4천926건, 2023년 6천791건, 2024년 6천349건에 비해 급격히 늘어난 수치다. 올해 해킹 시도는 최근 5년 중 최다였다.

사이버작전사령부는 “침해 시도 세력들을 정확히 특정할 수는 없으나, 경유지 IP 국가와 침해 시도에 사용된 각 IP 간의 연관성을 볼 때 북한에 의한 공격이 다수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군은 대응 체계 고도화를 지속하며 사이버 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물리적 충돌뿐 아니라 사이버전이 전쟁 양상에 포함되는 추세에서, 사상 최다 수준의 해킹 시도는 군 내부에 심각한 위기 신호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유용원 의원은 “군의 온라인망은 단 한 차례 침투만으로도 지휘 통제 체계와 핵심 정보자산에 치명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유 의원은 군 당국에 대해, 보안관제 시스템 정비와 정기적 모의 침투 훈련, 그리고 간부 대상 보안 교육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다. 또 "날로 고도화·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설치 필요 등 관련 법령 정비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군 외곽 방산업체들도 지속적으로 사이버 공격 침해 사례를 보고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 5건, 2022년 2건, 2023년 4건, 올해 들어서는 16건이 군에 신고됐다. 사이버 공격의 위협이 군 경계를 넘어 방위산업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국회와 군 당국은 이번 해킹 시도 급증을 계기로 범정부 체계와 실질적 훈련 및 대응책 마련 등, 사이버 안보 역량 강화를 둘러싼 논의를 본격화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