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에 무좀 환자 급증”…의료진, 민간요법 경고
연일 이어지는 고온다습한 날씨가 무좀 등 피부질환의 발병률을 높이고 있다. 백선균을 비롯한 곰팡이균이 급격히 번식하는 환경인 만큼, 사소한 위생 소홀도 만성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가톨릭중앙의료원 등 의료계는 “특히 무좀은 여름철 환자 수가 3~5배 늘어나며, 잘못된 민간요법 시도 시 자칫 2차 감염으로 입원 치료까지도 이른다”고 경고했다.
무좀(발백선)은 백선균이라는 곰팡이 일종에 의해 생기는 만성 재발성 피부질환으로, 전체 백선증 환자의 33~40%를 차지한다. 가톨릭중앙의료원에 따르면 적색 백선균(Trichophyton rubrum)이 국내 감염의 주원인이다. 최근 높은 습도와 기온으로 인해 목욕탕, 수영장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감염 경로도 다양해지고 있다. 실제로 환경이 습하면 곰팡이균 증식과 피부 침투 속도가 빨라져 각질 조각 등을 통한 집단 감염도 빈번하다.
무좀은 크게 지간형, 소수포형, 각화형 등으로 나뉘는데, 대표적으로 발가락 사이에 주로 생기고 피부가 짓무르거나 갈라지는 증상을 보인다. 땀이 많은 여름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가 흔하며, 진단이 늦거나 잘못 치료하면 재발 가능성도 크다.
무 좀이 의심될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피부과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항진균제 등 의학적 치료다. 자의적 민간요법은 화상이나 염증 등 심각한 2차 감염 위험을 높인다. 실제로 의료계는 “식초, 정로환, 알로에, 마늘 등 여러 민간요법이 오히려 증상 악화와 장기 입원 치료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생활 속 예방책으로는 신발과 양말의 통풍 유지, 발 씻기와 건조, 손발톱의 적정 길이 유지 등이 권고된다. 전문가들은 “증상 개선 시 자의적 약물 중단은 재발을 초래한다”며 “꾸준한 관리와 전문적 치료가 재감염 예방의 핵심”이라고 진단했다.
산업계는 이번 계절에 맞춘 올바른 피부 건강관리 정보 확산과 더불어, 피부질환 진단·관리와 관련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개발 등 바이오-IT 융합 응용에 대한 수요도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결국 의료계 일각에서는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을 통한 질환 모니터링이 새로운 관리 방식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