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마저 미중이 양분”…국제사회, 달러 패권 약화 경고에 긴장
현지시각 기준 27일, 서울에서 열린 국제 콘퍼런스에서 미국(USA)과 중국(China)의 AI 생태계 양분 현상, 그리고 글로벌 통화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둘러싼 중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이번 논의는 미중 간 기술·금융 경쟁의 본격화가 국제사회 경제 질서에 광범위한 파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날 행사에서 마틴 쵸르젬파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이 고성능 AI 반도체의 수출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중국은 오픈소스 기반 AI 모델 확산으로 맞서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에 따르면 하드웨어 분야에서 미국의 우위가 두드러지지만, 중국은 개방형 소프트웨어 전략을 통해 독자 생태계 규모를 키우는 추세다.

이 같은 배경에는 미중 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자리 잡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등 주변국이 AI 응용과 반도체 산업에서 양국 압박에 직면한 만큼 전략적 균형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쵸르젬파 연구위원은 “특히 반도체 생산과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한국이 중립적이면서도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제 금융 분야에서는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가 미국의 재정적자 확대와 보호무역 강화로 인해 달러 기축통화 체제가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재정수지 악화와 자국 중심 정책 기조가 점점 글로벌 통화 질서에 다극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무역 전략과 관련해 제프리 쇼트 PIIE 선임연구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기 촉발된 미국의 안보 논리 보호무역 기조에 주목하며, 한국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 다자협력 채널로 중국과의 경제 네트워크를 계속 보존해야 한다고 밝혔다.
PIIE에서 활동하는 모리스 옵스펠드 UC버클리 교수 역시 “안보 논리 부상과 자본 이동 제약으로 국제 금융시장이 더 빠르게 분절화되고 있다”며, 이는 OECD와 주요 20개국(G20)을 중심으로 한 금융협력 체계 약화와 달러 패권의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김진일 고려대 교수는 글로벌 물가와 환율의 극심한 변동기에 국내 금융시스템이 리스크를 실물경제로 빠르게 확산시키지 않도록 사전적 방어체제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진 한국경제인협회 회장은 “세계 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가 빠르게 현실화하고 있다”며, 과거 방식을 뛰어넘는 실용적 전략 수립을 주문했다.
국제 질서 재편과 금융 체제의 다극화 움직임 속에 전문가들은 미중 경쟁이 공급망은 물론 통화 시스템까지 전방위로 파급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지적된 위기 요인들이 앞으로 세계 경제 지형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