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옥, 옥천 미용실의 희망”…쉰 살 두 번째 인생꽃 피어나다→봄날의 여운 번지다
기억은 피어나는 봄처럼 김선옥의 하루를 물들인다. 쉰 살이 돼 손주 셋을 품은 옥천 할머니 김선옥은, 복숭아밭을 지나 미용실 문을 열 때마다 오래된 사연과 따스한 미소로 마을에 온기를 전한다. 부지런한 손길로 머리를 다듬으며, 마을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나누는 미용실은 이제 단순한 일터를 넘어 마을의 사랑방이자 모두의 쉼터로 자리잡았다. 김선옥의 손끝에 배인 복숭아 향과 세월이 깃든 미소는, 작은 행복과 위로를 은근하게 건네는 방식으로 깊은 울림을 남긴다.
김선옥의 곁을 지키는 남편 영섭 역시 두 아이의 아버지로서, 소박한 변화를 통해 아내와의 동행을 이어간다. 젊은 시절 방위병과 택시 기사로 분주했던 그는,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시작된 아내의 결혼과 첫 미용실 개업의 순간들을 조용히 되짚어왔다. 크고 작은 시련과 웅숭깊은 하루가 켜켜이 쌓였지만, 영섭의 잔잔한 미소와 소박한 동행은 이른 새벽부터 늦은 밤까지 이어지는 김선옥의 삶에 든든한 울타리가 된다. 최근 들어 더욱 세심하게 챙겨주는 남편의 모습과 예전과 달라진 서툰 애정 표현에, 김선옥이 느끼는 변화는 무엇보다 소중하다 말한다.

지역 미용 협회 구역장으로 활약하며 동네 어르신에게 젊은 스타일을 선물하는 김선옥은, 이제 지역의 ‘인싸’ 원장님이기도 하다. 마을 주민은 “나이에 비해 젊은 할머니”라며 부러움을 전하지만, 그녀가 머무는 공간은 고단함과 위로, 그리고 소박한 희망이 자연스레 어우러진다. 두 아이의 엄마가 된 맏딸 혜은도 시간이 흐르며 엄마를 더욱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고백한다. 김선옥의 지난날과 새롭게 만개하는 삶의 향기는, “늦게 피는 꽃이 가장 오래 진하다”는 말을 여실히 증명한다.
올해 마지막 복숭아 수확을 마친 김선옥은 남편과 진해에 사는 딸의 집을 찾았다. 사돈과의 소박한 대화, 진해루에서의 추억, 손주를 품에 안고 웃음짓는 딸의 모습에 잠시 멈춰 선 김선옥의 표정에는 세월의 따스함과 진한 온기가 묻어난다. 늘 달려만 오던 시간을 멈추고, 이제는 자신의 이름으로 살아가는 순간을 만끽하는 그 모습이 시청자에게 긴 여운을 남긴다.
한 평 남짓한 미용실과 복숭아밭, 그리고 가족의 곁에서 김선옥이 피워내는 두 번째 봄은 평범한 일상에 진한 향기를 덧입힌다. 잊고 지내던 꿈과 오랜 위로가 부드럽게 깨어나는 가운데, KBS1 ‘인간극장’은 김선옥의 하루를 통해 평범한 삶이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쉰 살에 다시 시작되는 인생꽃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지를 전한다. 김선옥의 이야기는 9월 12일 아침 7시 50분 ‘인간극장’을 통해 시청자를 찾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