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확장현실 헤드셋 첫 출시”…삼성, 구글 협력으로 AI 경험 진화

조보라 기자
입력

삼성전자가 22일 구글, 퀄컴과 공동 개발한 신제품 XR(확장현실) 헤드셋 ‘갤럭시 XR(Galaxy XR)’을 국내에 공식 출시했다. 2023년 세 기업이 XR 동맹을 선언한 이후 약 2년 8개월 만에 협업 성과가 현실화되며, 차세대 모바일 AI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가 새롭게 그려지고 있다.

 

신제품은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탑재해 기존 앱과의 호환성을 확보했으며, 구글 지도·포토·유튜브 XR 같은 주요 서비스도 지원한다. 특히 ‘서클 투 서치’, ‘3D 지도 탐색’, ‘3D 포토’ 등 몰입형 기능과 구글 ‘제미나이’ 기반 멀티모달 AI를 결합해 사용자의 동작과 맥락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하드웨어에는 퀄컴 XR2+ Gen 2 칩셋과 정밀 센서, 545g의 인체공학적 디자인이 적용됐다.

삼성·구글 무한 협력 신제품 공개(출처=삼성전자)
삼성·구글 무한 협력 신제품 공개(출처=삼성전자)

업계는 빅테크간 XR 신제품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삼성의 플랫폼 시너지와 신규 생태계 확장이 시장 판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XR과 AI를 결합한 몰입형 기기는 미래 소비 패턴과 콘텐츠 산업의 지형을 바꿔놓을 잠재력을 내포한다.

 

전문가들은 XR 헤드셋이 생산성, 엔터테인먼트, 교육 등 다방면으로 파급효과가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홍성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삼성의 안드로이드 XR 진출은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글로벌 생태계 협력의 신호탄”이라며, “AI-AR 결합이 기업 투자 및 시장 확장에 촉매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구글을 필두로 한 XR 생태계는 신제품 출시와 함께 빠르게 정비될 전망이다. 삼성은 향후 스마트 글라스, 스타일리시 아이웨어 등 다양한 XR 기기로 제품 라인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구글 역시 생태계 지원에 나서며, 다양한 앱과 구독형 서비스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XR은 AI 플랫폼 연동을 통해 단순 기기를 넘어 실시간 ‘몰입형 디지털 경험’ 플랫폼으로 진화 중이다. 글로벌 테크 기업의 XR 기술 투자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 중이며, 시장 내 경쟁 주도권을 둘러싼 협력과 합종연횡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갤럭시 XR 국내 출시가는 269만원으로 책정됐으며, 삼성닷컴에서는 최대 36개월 무이자 할부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전국 7개 삼성스토어에서 체험존이 운영되고, 구매 고객에게는 제미나이 AI 프로와 유튜브 프리미엄 등 총 10종의 구독권이 추가 제공된다.

 

향후 시장에서는 XR 헤드셋 성능 고도화, 서비스 생태계 확장, 소프트웨어 혁신이 맞물려 주요 테크 업계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을지 주목된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갤럭시xr#구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