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반도 공식적으론 전쟁 중”…도널드 트럼프, 이재명 대통령 회담서 평화 의지 밝혀

박선호 기자
입력

한반도 평화와 미국의 대외정책을 놓고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이 10월 29일 경주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회담 모두발언에서 “한반도에서 여러분이 공식적으로 전쟁 상태라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 모든 것을 바로잡기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겠다”고 밝혔다. 6·25 전쟁 후 법적으로 전쟁 중인 한반도 정세를 직접 언급하며, 미국의 중재 의지를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추진됐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깜짝 회동'이 사실상 무산됐음을 언급했다. 그는 “나는 김정은을 매우 잘 안다. 우리는 매우 잘 지낸다. 우리는 정말 시간을 맞추지를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향후 김 위원장과의 만남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다른 방문 일정도 있을 예정이며 상황을 바로잡기 위해 김정은, 그리고 모두와 매우 열심히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중 정상회담과 관련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그를(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만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미중 관계 역시 이번 외교 일정의 중요 축임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 등 관련 사안과 관세 등 미중 간 현안이 ‘남아 있는 구름’에 해당한다고 시사했다.

 

조선업 협력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이 정말 매우 짧은 시간 안에 창조하고 이뤄낸 것들이 놀랍다. (한국이) 조선업의 대가가 됐기에 우리와 협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선박 건조는 필수적인 일”이라며 한미 양국이 미국 내 조선소에서 협업하고 있고, 향후 ‘짧은 기간 안에 최고로 올라설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날 한미 정상회담에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수지 와일스 백악관 비서실장 등 미국 정부와 백악관 핵심 실무진이 대거 참석했다. 한국 정부 측 참석자들과의 협상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은 매우 강경한 협상가들”이라면서 양국이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치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발언 기조에 대해 다층적 해석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직접대화 의지를 지속 피력한 점, 그리고 한미 조선업 및 산업 협력에 대한 언급이 미국 내 자국 경제 우선주의 맥락과의 연장선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미 간 대화 재개 가능성의 신호탄”이라는 분석과, “북·미·중 주요국 정상회담이 동북아 정세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는 평가가 엇갈린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정상회담 성사 여부, 미중 정상회담 결과 등이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동아시아 외교 지형에 어떠한 파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은 이날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두고 외교적 해석과 평가를 내놓으며 외교·안보 정국의 주도권을 둘러싼 치열한 공방이 이어지는 분위기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도널드트럼프#이재명#김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