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유심 전면 교체 임박”…전 고객 대상 보안 조치 의결 주목
KT가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사고의 후속 조치로 전 고객 대상 유심(USIM) 교체 방안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2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감사에서 “전 고객 유심 교체를 위한 준비가 거의 완료 단계에 있으며, 11월 4일 이사회에서 의결되면 즉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업계는 KT의 이번 논의가 이동통신사 전반의 보안 신뢰도 논쟁을 촉발하며, 디지털 개인정보 보호 공방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본다.
이번 유심 교체 검토는 최근 KT 가입자를 대상으로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이르면 11월 초 이사회 의결 이후 신속 개시된다. 김 대표는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고를 충분히 확보했고, 대기 시간 등 혼란 방지에도 만전을 기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전 고객 대상 위약금 면제 방침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거듭 유지하며 “피해 조사 결과에 근거해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KT의 마이크로소프트(MS) 기반 클라우드 계약건도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일부 의원이 “미국 클라우드 액트 법률에 따라, MS에 구축된 KT 핵심 시스템 데이터가 미국 정부에 제공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으나, 김 대표는 “모든 데이터는 국내에 보관되고, MS도 관련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는 구조”라고 맞섰다. 데이터 주권과 경영 효율성 간 균형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됐다.
또한 MS와의 클라우드 계약 단가와 계약 구조에 관한 질의에 대해 김 대표는 “MS 애저 기반은 기존 데이터센터와 품질과 보안 체계가 다르다”며 “5년 계약 물량 미달 시에도 잔여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고, 전체 계약 규모는 2조3000억원가량”이라고 해명했다. 업계에서는 해외 클라우드 도입 확산으로 데이터 보호·관리 체계에 대한 정책적 심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양상이다.
전문가들은 이동통신·IT 업계의 대규모 유심 교체와 데이터 관리 구조가 시장 신뢰회복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며 “향후 보안 강화와 서비스 편의성, 데이터 주권이 융합된 미래 ICT 정책 수립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산업계는 이번 조치가 통신보안 신뢰 회복의 실질적 전환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