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KT 해킹 사고 책임론”…김영섭 대표, 사퇴 압박 속 총체적 책임 시사

강예은 기자
입력

KT의 해킹 및 무단 소액결제 사고가 정보통신 산업 내 최고경영진 책임론을 촉발하고 있다. 김영섭 KT 대표는 21일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최고경영자로서 총체적 책임을 지는 것이 마땅하다”며 “국민께 걱정과 불안감을 드린 점 죄송하다”고 밝혔다. 사퇴 요구가 거세지는 상황에서 김 대표는 “사태를 우선적으로 수습한 뒤 책임지는 게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번 사고는 정보보안 취약성과 경영 리스크가 동시에 드러난 사례로, 시장에서는 대형 통신사의 신뢰도 관리 체계와 위기 대응 프로세스에 근본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KT는 사고 이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과기정통부 등 정부기관의 조사를 받는 와중에 조사 방해 논란에도 휩싸였다. 과기정통부 민관합동조사단은 지난 2일 서버 폐기 및 수사 협조 과정에서 고의성이 있다는 이유로 경기남부경찰청에 수사를 의뢰했다. 과기정통부 류제명 2차관은 “KT의 소명이 충분하지 못했고, 연휴를 거쳐 10일 경찰 접수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정부의 정보통신 규제 강화와 기업 내부통제 시스템 전반에 미칠 파급력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건은 정보보호 인력과 시스템 투자 강화, 데이터 보안 체계 재정비 등 통신 업계 전반의 산업 구조 혁신 필요성을 드러냈다. 미국 등 글로벌 통신사들 역시 사이버 공격 대응 표준 절차와 최고경영진 거버넌스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상황이다. 정부 차원의 데이터 보호와 사용자 피해 최소화 정책, 기업의 위기관리 체계가 성숙되지 않는다면 신뢰 회복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산업계는 이번 사건이 통신·IT 분야 전반의 경영 책임과 기술 보안 강화, 그리고 규제 및 법적 대응 체계 개편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영섭#kt#과기정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