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서버 증거은닉 의혹”…경찰, 정부조사 방해 내사 착수
KT가 무단 소액결제 및 서버 해킹 사태와 관련해 정부 조사 과정에서 허위자료를 제출하고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에 대해 경찰이 본격적으로 내사에 돌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민관합동조사단 조사 도중 KT의 고의적인 자료 은폐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의뢰하면서, IT 인프라 기업의 윤리성과 데이터 투명성 문제가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안이 “IT 거버넌스 신뢰 재정립”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해석하고 있다.
경찰청은 최근 과기정통부로부터 KT 관련 수사의뢰서를 전달받은 뒤, 사건 관할을 검토하고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수사대에 조사를 지시했다. 수사팀은 KT가 서버 폐기 일정을 허위로 제출한 사실과, 존재했던 서버 백업 로그를 조사단에 즉시 보고하지 않은 정황에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KT는 자료 제출 요구에 (8월 1일) 서버 2대를 폐기했다고 주장했으나, 실제로는 이달 13일까지 8대의 서버를 순차 폐기한 것으로 드러났다. 백업 로그도 9월 18일까지 미보고된 만큼, 공무집행방해 및 기업 내부통제 의무 위반 여부가 집중 조사 대상으로 떠올랐다.

IT 인프라 운영상, 서버 폐기와 로그 백업은 핵심 정보보호 활동의 일환이나, 사실 은폐 시 법적·윤리적 문제가 중대하다. 특히 KT처럼 이동통신, 금융, 인증 등 고위험 정보가 집중된 경우, 자료 조작·삭제가 개인 피해 확산과 산업 신뢰추락으로 직결될 수 있다. 이번 건은 기존 단순 개인정보 유출 사례와 달리, 자료 은닉 및 조사 방해 의심이 명확해 기술적 흔적·접근기록 등 디지털 포렌식 분석도 병행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경기남부경찰청은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고를 추적하고 있으며, 경찰 집계 기준 피해자는 220명, 피해액은 약 1억4000만원에 달한다. KT 측 발표와 비교해도 피해 범위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별도 조사에서 KT 서버 해킹 및 침투 의심 정황, 추가적인 서버 접근 기록을 정밀 분석 중이다.
글로벌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이번 사건은 서버 운영, 데이터 백업, 증적 제출 등 IT 기반 사회의 신뢰 관리 체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드러내고 있다. 최근 유럽, 미국 등에서도 유사 사건 시 사업자에 대한 법적 제재가 강화되는 추세여서, 데이터 투명성·윤리 기준은 한국 ICT 산업에도 결코 예외가 아니게 됐다. 산업계는 “기업별 정보관리 수준이 시장 신뢰를 가르는 기준이 됐다”며, 유사 사건 방지 위한 제도 정비 요구가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