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비례대표 할당 과도” 논란에…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대변인 강력 비판
정치권이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 발언을 둘러싸고 격돌했다. 17일 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대변인이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해서 문제”라고 밝힌 이후, 더불어민주당은 약자를 향한 최소한의 존중마저 저버렸다며 강력히 반발했다. 장애인 등 소수자 대표성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정국의 한복판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국민의힘은 해당 망언에 대해 즉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당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대변인은 “국회의원 300석 중 장애인 비례대표 할당이 과도하다는 주장은 국회가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해야 할 본질을 부정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며 “장애인을 포함한 소수자 대표성 확보를 위한 할당제는 민주주의의 필수 요소”라고 밝혔다.

이어 박 대변인은 박민영 대변인이 같은 당 내 시각장애인 여성 비례대표인 김예지 의원에게 “피해의식으로 똘똘 뭉쳤다”고 한 점도 문제 삼았다. 그는 “이는 공당 대변인으로서 용납될 수 없는 비인도적 태도”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전수미 대변인도 논평을 발표해 “국회의원 300명 중 장애인 의원은 3명, 즉 1%인데도 이것이 과도하다고 말하며 의도적 혐오로 조롱을 일삼았다”며 “혐오의 확성기를 자처하느냐”고 지적했다. 전 대변인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이런 수준의 혐오와 패악을 일삼는 대변인을 계속 둘 것인지 답해야 한다”며 “혐오의 방치는 곧 동조임을 잊지 말라”고 강조했다.
직접 발언 논란이 확산하자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박민영 대변인에게 엄중 경고 조치를 내렸다.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공식 사과까지는 이르지 않았으나, 당내 기강 확립 필요성을 다시 환기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장애인 등 소수자 대표성 보장 문제와 인권 감수성 부족 논란이 총선 정국에서 쟁점으로 부상하는 흐름이다. 여야는 향후 상임위와 본회의 등에서 장애인·소수자 정책을 두고 치열한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