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대형 전력 신청 80% 불허”…기업 투자 연쇄 차질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전력 부족이 최근 기업 투자 환경에 큰 장애로 떠오르고 있다. 2022년 7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송도에 신청된 전력 공급 요청 가운데 절반 이상이 승인받지 못하면서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 제조기업의 신·증설 계획에 연쇄적으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16일 한국전력공사 자료를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해당 기간 송도의 전력 공급 신청 25건 중 14건이 불허됐다. 특히 30MW 이상의 대량 전력이 필요한 대기업 신청은 15건 중 12건이 거절돼, 대용량 불허율이 80%로 치솟았다. 바이오 대기업 A사, 반도체 기업 B사, C기업 등 주요 기업들이 수차례 공급을 요청했지만 대다수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전력망 포화에 따른 송도 지역 산업생태계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정책 당국과 공급자의 투자가 지연될 경우, 첨단공장 확대·유치가 본격적으로 차질을 빚으면서 미래산업 경쟁력에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 안팎에서는 “2022년 승인율이 86%였던 것에 비해 2023년 27%로 급락, 2024년 이후에도 개선 기미가 없다는 점이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송도의 현재 전력공급 규모는 700MW에 머무르고 있어 추정 수요 1,689MW의 41% 수준에 불과하다.
허종식 의원은 “2023년 이후 대용량 전력 신청의 80%가 거부된 것은 송도 전력망이 사실상 포화 상태임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며, “정부와 한전은 특단의 대책마련과 함께 기업에 공급 가능 시점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한국전력도 지역 내 전력망 확충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단기간 내 공급 여력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신규 변전소 건설, 전력 계통 투자 확대, 조기 행정지원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송도 지역 전력 공급난이 해소되지 않으면 첨단산업 유치 및 국내외 투자자 신뢰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향후 정부와 당국의 인프라 개선 대책이 투자환경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