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송도 대형 전력 신청 80% 불허”…기업 투자 연쇄 차질

권혁준 기자
입력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전력 부족이 최근 기업 투자 환경에 큰 장애로 떠오르고 있다. 2022년 7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송도에 신청된 전력 공급 요청 가운데 절반 이상이 승인받지 못하면서 바이오, 반도체 등 첨단 제조기업의 신·증설 계획에 연쇄적으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16일 한국전력공사 자료를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해당 기간 송도의 전력 공급 신청 25건 중 14건이 불허됐다. 특히 30MW 이상의 대량 전력이 필요한 대기업 신청은 15건 중 12건이 거절돼, 대용량 불허율이 80%로 치솟았다. 바이오 대기업 A사, 반도체 기업 B사, C기업 등 주요 기업들이 수차례 공급을 요청했지만 대다수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출처=인천경제청
출처=인천경제청

전문가들은 전력망 포화에 따른 송도 지역 산업생태계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정책 당국과 공급자의 투자가 지연될 경우, 첨단공장 확대·유치가 본격적으로 차질을 빚으면서 미래산업 경쟁력에도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장 안팎에서는 “2022년 승인율이 86%였던 것에 비해 2023년 27%로 급락, 2024년 이후에도 개선 기미가 없다는 점이 투자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송도의 현재 전력공급 규모는 700MW에 머무르고 있어 추정 수요 1,689MW의 41% 수준에 불과하다.

 

허종식 의원은 “2023년 이후 대용량 전력 신청의 80%가 거부된 것은 송도 전력망이 사실상 포화 상태임을 보여주는 명백한 증거”라며, “정부와 한전은 특단의 대책마련과 함께 기업에 공급 가능 시점을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한국전력도 지역 내 전력망 확충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단기간 내 공급 여력 확대에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신규 변전소 건설, 전력 계통 투자 확대, 조기 행정지원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송도 지역 전력 공급난이 해소되지 않으면 첨단산업 유치 및 국내외 투자자 신뢰 저하로 연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향후 정부와 당국의 인프라 개선 대책이 투자환경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권혁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송도국제도시#전력인프라#기업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