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일제강점기 도쿄서 검거된 재일한국인 261명”…국가보훈부, 항일운동 기록 발굴

한지성 기자
입력

항일운동을 둘러싼 역사적 기록을 두고 국가보훈부와 일본 현지 경찰 기록이 맞물렸다. 일제강점기 일본 도쿄에서 항일운동에 참여하다 검거된 재일한국인 261명의 명단이 국가보훈부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공개된 이번 자료는 독립운동의 현장과 미서훈 유공자 발굴 문제를 다시 정국 의제로 부각시키고 있다.

 

국가보훈부는 11월 17일 제86주년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일본 국립공문서관에 소장된 ‘검거색인부’와 ‘검거인명부’ 등 총 601쪽 분량의 자료를 분석했다고 밝혔다. 해당 자료에는 6천 명을 넘는 검거 기록이 담겼으며, 이 가운데 도쿄 관내 경찰서가 치안유지법 위반 등 혐의로 검거한 한국인 261명의 활동 이력과 검거일 등 구체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가보훈부는 “기록에 따르면 재일한국인들은 주로 학생운동, 반제국주의 운동 등 항일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에 붙잡힌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자료 속에는 이미 애족장 포상을 받은 독립유공자 김방응(2020년)과 윤구용(2017년) 등도 다시 확인돼, 기존 독립운동사 연구와 인물 기록의 신뢰성을 높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에서는 “미서훈 독립유공자의 추가 발굴과 정부 포상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며 환영 뜻을 전하며, 일본 내 한인 사회의 항일운동이 현재까지도 체계적으로 탐색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국가보훈부 또한 “새롭게 확인된 자료를 바탕으로 해외 무대에서 활동한 미서훈 독립유공자의 발굴과 포상 절차를 적극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기록 발굴은 독립유공자 명예회복과 한일 간 역사 문제 재조명의 계기로도 해석된다. 특히, 정부가 미서훈 독립유공자에 대한 추가 포상을 예고하며 향후 관련 심사 절차 및 유가족 예우 정책 등으로 논의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은 독립운동 기록 발굴을 계기로 순국선열 예우와 역사적 책무 강화 방향을 두고 보다 다양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한지성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보훈부#도쿄#항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