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권남용·폭언 논란에 직위해제”…채일 국방홍보원장, 국방부 수사 의뢰
직권남용과 폭언 등 다양한 의혹을 둘러싼 국방홍보원장 채일과 국방부가 충돌했다. 국방부 감사 결과 징계 요구 및 직위해제, 형사 고발 조치가 잇달아 나오며 군 조직 내부 기강 논란이 다시 점화됐다.
국방부는 8월 4일 채일 국방홍보원장이 국가공무원법상 성실의무 및 품위유지의무 위반, 형법상 강요·명예훼손 등과 관련해 직위에서 해제됐다고 밝혔다. 감사는 지난달 24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됐으며, 채 원장의 12·3 계엄 이후 진보 성향 신문 절독 지시와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한미 정상 간 첫 통화 관련 보도 제한 지시 등 수 차례 문제 제기에 따라 실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감사 결과 각종 의혹의 상당 부분이 사실로 드러나 중앙징계위원회에 징계를 요구했고, 관련 규정에 따라 징계 의결이 있을 때까지 직위를 해제했다"며 "형법 위반 여지가 있는 부분은 수사를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향후 조사 과정에서 추가 사실이 드러날 경우 엄정하게 조치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여권에서는 엄정처분 기조를 강조하는 한편, 야권은 공공기관 공직기강 확립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안규백 국방부 장관을 향해 "국방일보가 장관님의 취임사를 편집해서 핵심 메시지를 빼버렸다던데, 기강을 잘 잡으셔야 할 것 같다"고 직격했다. 이 발언은 안 장관 취임사 중 12·3 비상계엄 관련 메시지 누락 논란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야당 관계자들은 "군 내외부 커뮤니케이션 정책 신뢰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채일 국방홍보원장은 KBS 기자 출신으로 윤석열 전 대통령 후보 캠프에서 공보특보를 지냈고 2023년 5월 임명된 인물이다. 주요 정치권 인사 출신이라는 점에서 채 원장을 둘러싼 논란은 여론의 관심을 더욱 끌고 있다.
해당 사안은 향후 군 내 인사 운영과 국방부 산하 공공기관 기강 확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국방부는 감사 및 수사 의뢰 결과에 따라 추가 후속조치를 검토할 계획이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