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제명 촉구”…전북개헌운동본부, 이춘석·권성동·이준석 책임론 제기
정치적 책임론과 윤리 기준을 둘러싸고 국회의원 제명 요구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춘석·권성동·이준석 의원을 둘러싼 일련의 논란이 "권력을 특권의 도구로 전락시켰다"는 비판과 맞물리며, 국회와 정당의 대응에 여론의 관심이 쏠렸다.
8월 19일 민주노총 전북본부 등으로 구성된 전북개헌운동본부는 전북도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춘석, 권성동, 이준석 국회의원에 대한 즉각적인 제명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들은 이춘석 의원을 두고 “국회의 법과 정의를 다루는 핵심 자리인 법제사법위원장 신분으로 본회의장에서 주식 차명거래를 일삼고도 거짓 해명으로 책임을 회피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법사위원장에서 물러나고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는 것으로 모든 죄가 사라진 듯 행동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성동 의원에 대해서는 “통일교 한학자 총재에게 큰절을 올리고 1억원 수수 의혹까지 휘말렸음에도 국민의힘 긴급의원총회에 참석하는 뻔뻔함을 보였다”고 비판했다. 이준석 의원과 관련해서도 “대통령 후보 시절 여성 모욕 발언으로 제명 요구 국민청원에 60만명이 동의했으나, 국회는 관련 절차를 밟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전북개헌운동본부는 “이 사건은 단편적 일탈에 그치지 않는다”며 “지금 국회의원과 지방의회 의원들은 권력을 사익과 특권의 도구로 전락시키고 있지만, 정작 국회와 정당은 서로를 감싸며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차원의 제명과 사법적 단죄가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며 "국회는 즉각 이 세 의원을 제명하고 정치 개혁을 위한 개헌과 제도 혁신 논의를 시작하라"고 요구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해당 제명 요구를 놓고 여야 공방이 다시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국회는 제명 절차 개시 요구와 함께 의원 윤리 강화 및 제도 개혁을 둘러싼 설전이 이어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