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논란에 여론조사 보이콧은 비겁”…김용태, 광주교육감 선거 판세 영향
광주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여론조사 참여 여부를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심화되고 있다. 김용태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광주지부장이 29일 광주시의회에서 직접 기자회견을 열고, 경쟁 입지자들의 여론조사 보이콧 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최근 여론조사에 불참한 후보들과 김 전 지부장 간 갈등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 시민의 선택권과 공정성에 대한 논란이 선거 판세를 흔들고 있다.
이날 김용태 전 지부장은 “입지자 경력사용을 문제 삼아, 여론조사를 보이콧하는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일이 광주에서 반복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정한 정보 제공과 시민의 선택권을 부정하는 심각한 행위”라며 “여론조사는 자신들에게 유리할 때는 홍보하고, 불리할 때는 조사 자체를 방해하는 식으로 악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전 지부장은 자신의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에 대해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고, 내년 광주교육감 선거에서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경쟁후보의 정당한 경력을 트집 잡아 여론조사에 사용하지 못하게 한 사례는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고 말하면서 경력에 대한 논란을 정면 돌파했다. 이어 “경력에 대한 판단은 오직 광주시민의 몫”이라며 “누구도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려 해서도 안 되고, 그럴 수도 없으며 어떤 압박에서도 시민의 알권리를 지키기 위해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렇듯 김 전 지부장의 강경 메시지는, 최근 경쟁 입지자 3명이 여론조사 신뢰도를 문제 삼아 보이콧에 들어가면서 촉발됐다. 실제로,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김 전 지부장의 ‘노무현재단 시민학교장’ 경력 표기가 들어갔을 때와 빠졌을 때 지지율 격차가 상당하다는 분석이 나온 바 있다. 이에 입지자들은 “여론조사 공정성과 신뢰성이 훼손됐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논란이 향후 선거 판도에 미치는 파장을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경력 표기 하나로 선거 구도가 크게 뒤바뀔 수 있다는 점에서, 여론조사 설계 기준과 후보 검증 절차에 대한 정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이에 따라 광주교육감 선거를 둘러싼 갈등은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각 입지자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굳히고, 시민사회 역시 후보자 자격과 경력 검증 기준에 대한 논의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가에서는 향후 여론조사 표기 기준의 객관성 확보 방안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될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