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선업 재건 교두보 필리조선소 주목”…김동관-美해군성 고위급 현장 소통
미국 조선업 재건을 둘러싸고 한화오션 김동관 부회장과 미국 정부 고위 인사들이 현장 논의를 벌였다. 지난 7월 30일(현지시각),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의 한화필리조선소를 방문한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과 러셀 보트 백악관 예산관리국장은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 프로젝트’ 관세 협상 타결을 이틀 앞둔 시점에서 조선 현안을 집중 점검했다. 협상 직전 이뤄진 이번 현장 방문이 정책 결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며, 미국 내 조선 기술·공급망 재편이 새로운 정국 변수로 떠올랐다.
현장에서 김동관 부회장은 펠란 장관, 보트 국장과 함께 주요 생산 설비를 둘러보고 “세계 최고 수준의 선박 설계·건조 능력을 보유한 한화가 필리조선소를 교두보로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인력 양성, 조선 공급망 재구축 및 선박 유지보수(MRO) 등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고 한화오션 측은 전했다. 중장기 투자 계획도 설명하며 미국 정부에 협조와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피접 현장에서 보트 국장은 “한화가 필리조선소에서 보여주는 투자와 현지 직원들과의 파트너십을 매우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했다. 펠란 장관 역시 “조선·해양 산업기반 구축은 트럼프 정부와 해군성의 최우선 순위”라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4월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방문 당시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부응할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겠다”는 김동관 부회장의 안내를 받기도 했다.
정치권에서는 미국 백악관 예산관리국이 행정부 조선 정책의 ‘지휘본부’ 역할을 하는 만큼, 보트 국장과 펠란 장관의 현장 점검이 마스가 프로젝트를 포함한 관세 협상 타결에 실질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조선업계 내부에서는 "협상 직전 이뤄진 현장 보고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협상 최종 결정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한화그룹은 지난해 말 필라델피아 필리조선소 인수 후, 설비 투자와 기술이전, 일자리 창출에 착수했다. 현재 연간 1∼1.5척인 건조 능력을 2035년까지 10배로 확대한다는 목표도 강조됐다. 이와 관련해 미국 내 조선업 회복과 초국적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될지 주목된다.
이날 현장에서는 양국 정부와 기업의 조선 협력이 무역장벽 완화와 산업 재건의 실질적 분기로 작용할지가 또 다른 관전 포인트로 떠올랐다. 정치권은 향후 미국 내부 정책 변화와 추가 한미 조선 프로젝트 논의가 정국에 어떤 파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