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석화 개혁 속도전”…정청래, 민주당 대표로 출발선에 선 과제와 도전
정치 개혁의 파고 속에서 더불어민주당 신임 대표 정청래가 출항했다. 2일 전당대회에서 당선된 그는 국민 여론과 강경 지지층, 당정 관계 등 복잡한 이해관계에 직면한 채 ‘전광석화 개혁’의 속도전을 예고하며 정치권에 긴장감을 불러오고 있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추석 귀향길에 국민이 검찰청 폐지 뉴스를 들을 수 있게 하겠다”며 강력한 개혁 드라이브 의지를 드러냈다. 최근 민주당 내 강경파 의원들은 검찰청 폐지법, 공소청 설치법 등 검찰 개혁 4법을 이미 발의했고, 이에 더해 법원 판사 평가 도입 관련 법, 검사에 대한 파면 규정 신설, 위헌 정당 해산을 국회가 청구하는 법안 등 사법·언론을 겨냥한 개혁 법안도 계속 내놓고 있다. 정기국회 또는 연내 입법 완료가 목표다.

하지만 민주당 내에서는 ‘사이다 행보’로 불리는 강경 개혁을 두고 국민 전체의 지지 없이 독주 프레임에 빠지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최근 추진 중인 ‘더 센 상법’, ‘더 더 센 상법’ 등 기업 규제강화 법안과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 논의는 대선 당시 강조했던 중도·실용 노선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
여야 관계 역시 정청래 대표 앞 과제다.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내란 정당’으로 규정한 데 이어, 위헌정당해산·의원 제명 등 실질 조치가 추진될 경우 극한 대치 국면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정 대표는 ‘국민의힘과 대화 불가’ 입장을 분명히 했지만, 친명계 박찬대 의원이 협치를 거론한 점에서 내부에도 의견이 갈린다. 전문가들은 “107석 야당과 필요 분야 협력 요구를 무시할 경우, 민주당 역시 부담을 안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청래 신임 대표가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뒷받침하면서도 ‘대통령실 여의도 출장소’라는 우려에서 벗어나 수평적·건강한 당정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실제 강선우·이진숙 인사청문회 논란에서, 민주당이 의중 전달에 집중하다 민심 전달 타이밍을 놓쳤다는 비판이 있었다.
내년 지방선거와 일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를 앞두고, 특히 수도권 표심을 염두에 둔 중도 민심 확보 역시 정청래 대표의 전략적 선택이 요구된다. 일방적 강경 노선이 자칫 표심 이탈을 불러올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정치권은 이날 민주당의 ‘전광석화 개혁’ 드라이브 선언에 대해 여야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개혁 입법 추진을 가속화할 계획이고, 야당은 입법 독주 저지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국회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여야 충돌이 한층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