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030년 공직에 AI 인재 2만명”…정부, 내부 역량 강화 시동
IT/바이오

“2030년 공직에 AI 인재 2만명”…정부, 내부 역량 강화 시동

윤선우 기자
입력

AI 시대의 경쟁력이 국가 행정 현장에도 요구되면서, 정부가 2030년까지 공공부문 내부 AI 전문가 2만명을 양성하는 대규모 인재 육성에 착수했다. 범국가적 AI 활용 확산 속에 공공기관의 디지털 전환 역량 확보가 주요 과제로 부상한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기존 외부 인재 채용과 병행해 재직 공무원의 AI 실무 역량을 근본적으로 높이는 전략을 밝혔다. 업계와 정책 현장은 이번 계획을 ‘공공부문 AI 경쟁력’의 변곡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가 발표한 AI 전문인재 육성 방안은 2030년까지 모든 행정·공공기관 인력의 약 2%에 해당하는 내부 전문가, 이른바 ‘AI 챔피언’ 2만명을 자체적으로 키우는 것이 골자다. 2024년 기준, 외부 전문가 영입에 한계가 뚜렷한 상황에서 공직 내부 역량 강화를 직접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교육 프로그램은 생성형 AI 기반 문서 작성, 실무 도구 활용, 공공서비스 혁신 아이디어 도출 등 현장 적용력이 높은 실용형 커리큘럼으로 구성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술 개요 면에서는, 단순 교양 수준이 아닌 생성형 AI 등 첨단 기술의 행정 적용, 데이터 이해·활용, 맞춤형 업무 자동화 등 실제 부처별 상황에 맞는 심화 코스 개설이 예고됐다. 이는 외부 컨설팅 의존성을 줄이고, 기관별 현장 경험과 AI 활용 노하우를 축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는 분석이다. “행정 또는 공공업무 맥락에서의 AI 실무화”라는 점에서, 기존 민간 AI 인력 양성과 뚜렷한 차별성을 갖는다.

 

적용 분야는 행정 문서 자동화, 국민 서비스 개선, 정책 데이터 분석, 예산 집행 효율화 등 전 부처 간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가속이 예상된다. AI 활용에 익숙한 내부 전문가 양성은, 복지·조달·국세 등 전문성이 요구되는 부처별 맞춤형 혁신의 실효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쟁 구도에서도, 미국·영국 등 선진국 정부들이 이미 AI 분야 공무원 스킬 강화, 인력 재교육 예산 확충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국내는 공채·전문가 외부 충원 구조가 취약해 자체 인재 풀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일본·싱가포르 등이 내부 AI 마스터 양성 중심으로 행정혁신을 추진하는 가운데, 한국형 모델이 성과를 낼지 주목된다.

 

정책적으로는 각 부처와 행안부·교육부·권한 있는 전문교육기관 간 협업 기반이 강화될 전망이다. AI 기반 행정의 윤리, 데이터 혁신과 개인정보 관리, 공정성 확보 등 관련 지침·법제 마련도 동시에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혁신적 AI 민주정부 실현을 위해 공직 내부 역량 구축이 필수”라며 “실무 중심 AI 교육으로, 공공분야 디지털 혁신의 지렛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AI 전문가 양성 정책이 실제 현장에 뿌리내릴지 주시하는 한편, 기술·제도·인재 생태계 간 유기적 연계가 향후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본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ai전문가#공공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