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소고기 추가개방 저지 환영”…농민단체, 한미 관세협상 투쟁 지속 선언
농업 시장 추가 개방을 둘러싸고 농민단체와 정부, 미국 간의 갈등이 다시 격화했다. 31일 타결된 한미 관세협상에서 쌀과 소고기 시장의 추가개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농민·시민사회단체들은 일단 안도감을 나타내는 한편, 투쟁 의지를 거듭 밝혔다. 협상 결과를 두고 투쟁 선언이 이어지면서, 향후 이재명 대통령의 대미 외교 행보가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날 오전,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과 농민의길 등 농민·시민사회단체는 서울 종로구 주한 미국대사관 인근 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쌀과 쇠고기 추가 개방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역대 어느 정권도 앞장서 막아내지 않았던 농업 개방 위협을 상당 부분 저지해 다행스럽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농민단체 측은 미국의 추가 요구 가능성에 대해 경계심을 감추지 않았다. “2주 뒤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는데, 그동안 또다시 추가 협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이재명 정부는 트럼프의 매드맨 전략에 휘둘리지 말고 식량주권을 적극 실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원오 농민의길 상임대표는 “아직 협상이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닌 만큼, 어떤 새로운 요구가 오갈지 농민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통상 압력이 아무리 거세도, 농민들이 먹고살 수 있는 기반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며 이제는 식량주권을 정책으로 실행할 때”라고 강조했다.
트럼프위협저지공동행동 김재하 공동대표는 “이번 협상은 대등하지 못한, 협박에 가까운 과정이었다”며 “국익과 민생, 일자리를 보호하기 위한 투쟁을 앞으로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농민단체들은 쌀·소고기 시장 개방 문제뿐 아니라, 정부가 전체 농업 분야를 대상으로 사전 방어 전략을 계속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2주 후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에서 추가 압박이 있을 것이란 우려를 밝힌 만큼, 향후 정상회담 전후로 다시 한 번 대규모 농민 집회와 시민사회의 항의가 이어질 가능성도 예상된다.
정부는 추가 협상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농업인의 생존권과 식량안보를 최우선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하고 있다. 이번 관세 협상과 향후 정상회담이 농업정책 방향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정치권과 농민단체의 긴장감이 커지는 양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