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억 투입에도 1년째 개관 못 해”…임오경, 체육인재개발원 방치 실태 지적
체육인재개발원 개관 지연 사태를 두고 정치권에서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은 27일, 대한민국체육인재개발원이 42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준공한 지 1년이 다 돼가지만 여전히 개관하지 못하고 방치돼 있다고 지적했다. 시설을 둘러싼 운영비 확보 방안이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소관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체육회간 책임론도 제기되고 있다.
임오경 의원은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공공기관 운영비를 전액 기관이 부담하는 사례는 드물며 타 시설과 비교해도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실제로 전남 장흥군에 위치한 체육인재개발원은 국내 유일의 체육인 공공 교육시설로, 지난해 12월 완공됐으나 시설 운영비 부족 문제로 11개월간 문을 열지 못한 상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운영비 국고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개발원 설립 당시 대한체육회가 운영비 부담 주체로 지정됐다는 점을 들어, 정부 지원의 필요성에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 임오경 의원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운영하는 스포츠가치센터에는 매년 약 50억 원의 운영비가 국고로 지원되고, 환경부 산하 환경공단 인재개발원 등도 50억 원 안팎의 국고 지원을 받는다”며 사례를 제시했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장흥 체육인재개발원의 방치 사태를 두고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운영 주체와 지원 방식에 대한 합의가 지체되며 예산 낭비 논란까지 제기되고 있다. 체육계 인사들 사이에서도 “국가 체육 인재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가 퇴색될 위기”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임오경 의원은 “문체부가 시설 활용 방안과 생활·학교 체육 관련 교육 프로그램 등을 마련해 대한체육회의 ‘캐시 카우’로 삼아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추가 논의와 검토를 이어가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국회는 운영비 지원 및 운영 주체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며, 효율적인 국고 활용과 공공시설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책을 다음 회기에서 본격 검토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