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잘 정리됐다”…정청래·김병기, 민주당 리더십 갈등 일단 봉합 국면
정치

“잘 정리됐다”…정청래·김병기, 민주당 리더십 갈등 일단 봉합 국면

허예린 기자
입력

특검법 합의 번복을 둘러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의 갈등이 일단 봉합 기류를 보이고 있다. 집권 여당 내 리더십 균열 우려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최근까지 고조됐던 내홍은 당분간 소강 상태로 접어들 전망이다.

 

정청래 대표는 12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전날 사실상 원안대로 특검법 개정안이 통과된 데 대해 “결국 역사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흘러간다”며 “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상대방과의 차이보다 크겠느냐”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한 전우이자 동지”라고 밝혀, 김병기 원내대표와의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정 대표는 이재명 대통령 정부 출범 이후 첫 정기국회에서 개혁 입법 과제가 많다며, 지도부 내 단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거듭 주문했다. 이를 두고 당 일각에서는 김 원내대표를 포함한 원내 지도부와의 내홍이 당분간 봉합될 것이라는 평가가 잇따랐다. 친명계 한 의원은 “원내 지도부가 대통령의 협치 주문에 부응하려고 하다 기술적으로 어긋난 것일 뿐, 근본적으로 큰 문제는 없다”며, 김 원내대표 사퇴론에는 “그럴 일이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김병기 원내대표도 추가적인 확전은 자제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날 최고위원회의에는 평소처럼 자리했고, 미국에서의 한국인 구금 문제 등 현안만 언급했다. 3대 특검법 합의 번복 사태에 대해서는 특별한 거론을 삼갔다. 이는 전날 비공개 최고위 불참,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하라”고 격앙된 모습을 보였던 것과는 달라진 행보다.

 

정 대표와 김 원내대표가 갈등 확산을 경계하는 배경에는 여권 전반의 악재 우려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민주당 내부에서는 정부조직법 개편안 등 주요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리더십 균열이 지속될 경우 이재명 대통령 국정 동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최다선인 조정식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소통은 있었고, 이후 여론 동향 등을 감안해 일부는 보완하고 일부는 여야 합의를 반영해 잘 정리가 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물밑에서 양측의 불신과 긴장감이 여전하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김 원내대표 측에서는 정 대표가 원내 사안에 월권한다는 시각이 뚜렷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김 원내대표는 당내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당 협상을 추진했지만, 강성 지지층의 반발이 높아지자 최고위원들이 책임을 원내로 돌린다는 점에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 원내대표와 원내 지도부는 정 대표 측의 별도 만남 제안까지 거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초선 의원은 “원내에서 어렵게 협상한 사안인데, 협상 내용이 사전 발표되는 과정이 미숙했을 수 있으나 최고위가 일을 벌이자 손절하는 모습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반면 당내 일각에서는 김 원내대표의 대야 협상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은 “법사위 사전 보고 동의 논란은 유감”이라며, 김 원내대표가 지도부·법사위와 충분히 협의했다고 한 것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언주 최고위원 역시 “대야 협상에서 지도부나 의원들 핑계를 대서 시간을 끄는 방법도 있는데, 국정원 출신이라 그런지 엄격하게 처리한 것 같다”고 평했다.

 

투톱 간 내홍이 일단 진정 국면을 맞았지만, 민주당 리더십을 둘러싼 파열음과 불신 기류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치권은 민주당이 여야 협상, 개혁 입법 등 굵직한 과제를 앞둔 상황에서 추가 갈등 재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청래#김병기#더불어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