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 해법 한미 공조로 모색”…통일부, 대북 협상 전략 긴밀조율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통일부가 남북관계 복원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놓고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남북 간 대화 재개와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이 주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통일부는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을 통해 관련 입장을 공식화했다.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한미정상회담을 준비하며,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양국 협력에 대해 유관기관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 역시 전날 언론 인터뷰에서 “통일부가 북한과 관련한 아이디어를 마련할 것”이라며, 관세협상 당시 조선협력 프로젝트(MASGA) 거론과 함께 적극적 정책 구상을 시사했다.

최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대미 담화를 낸 데 대해, 미국도 즉각 반응을 내놨다. 미 국무부 세스 베일리 동아태국 부차관보 대행은 “김여정의 최근 담화를 포함해 북한 지도부 고위급 성명들을 관심 갖고 주목하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장 부대변인은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 및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북한과의 대화에 열려 있다는 데 입장이 같다”며, “정부는 북미 회담 재개를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한미 양국이 대북 유연성 메시지를 동시에 내면서, 남북관계 해빙 기류와 함께 새로운 교착 국면 전환의 실마리가 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MASGA 프로젝트’ 언급이 실질 협력 이행에 방점을 찍었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향후 한미 정상회담 결과와 미국 대선 전후 한반도 대화 기류가 남북 및 대미관계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부는 국제사회와의 공조 속에 남북관계 복원과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 실무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