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K-AI 5팀 출격”…네이버·LG·SKT 등 독자 AI 승부수에 업계 주목
국내 대표 대기업과 AI 스타트업, 게임사까지 총출동한 ‘국가대표 K-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팀이 윤곽을 드러냈다. 정부가 국내외 빅테크와의 AI 주권 경쟁 심화 속에서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등 국산 AI 핵심 기술을 본격 띄운다는 전략이다.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한 5개 팀에는 네이버클라우드, LG AI연구원, SK텔레콤, NC AI, 업스테이지가 이름을 올렸다. 각 사의 기술 역량과 산업 현장 적용 경험, 산학협력 기반, 오픈소스·풀스택 확장 노력이 집약됐다. 업계는 이번 발표를 ‘국산 AI 산업 경쟁력 제고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검색·클라우드·AI 서비스 노하우를 바탕으로 국민 접근성 확대와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을 내세운 것이 눈에 띈다. 대학·연구소와의 협업 네트워크는 데이터 확보와 AI 커뮤니티 확산에도 힘을 싣는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4.0’의 기술 성과와 LG그룹사 및 국내외 AI 전문기업이 결합된 풀스택 컨소시엄을 앞세우고 있다. 엑사원은 글로벌 성능 분석에서 한국 모델 기준 1위, 글로벌 4위를 기록하며 경쟁력을 증명했다. SK텔레콤은 890만 실사용자의 ‘에이닷’, ‘라이너’ 등 실제 서비스 운영 경험, 자체 LLM 개발과 NPU(국산 신경망처리장치) 최적화, 슈퍼컴퓨터 인프라 등을 강점으로 꼽는다.

유일한 스타트업 주관사인 업스테이지는 ‘Solar WBL’ 등 독자 설계, 1000억~3000억 파라미터급 모델 확보와 다양한 언어·산업 특화 멀티모달 모델 등 공격적 기술 확장 로드맵을 내세웠다. 또, GPU 분할 가상화·데이터 전처리·경량화 등 AI 고도화 생태계와 협업, 전방위 B2B 서비스 확대 계획이 두드러진다.
게임업계 대표 주자인 NC AI는 14년간 축적한 게임 AI 연구 역량과 ‘VARCO LLM’, ‘VARCO Vision 2.0’ 등 글로벌 수준의 경량·멀티모달 LLM 기술에서 차별성을 인정받았다. 컨소시엄에는 54개 기관이 참여, 산업별 맞춤형 AI로의 확산 비전이 구체적으로 제시됐다. 함께 참여하는 크래프톤 역시 게임 도메인 특화 AI 솔루션, SLM 기반 CPC, AI NPC 등 실전 적용 사례 확보에 주력한다.
각 팀은 오픈소스화, 도메인별 AI 도입 확산, 풀스택 인프라 구축, 글로벌 수준 성능 인증 등을 중점 과제로 삼고 있다. 산업계 안팎에서는 데이터 접근성 강화부터 국산 AI 생태계 확장, 글로벌 파운데이션 모델 대비 기술력 격차 해소까지 다양한 과제가 함께 제시됐다. 한편, 미국 오픈AI·구글·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거대 AI 기업의 선점 현상에 비해 국내의 자체 기술력 확보 및 상용화 속도 제고는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가 국내 AI 산업의 주권을 강화하고 산업 전반에 실질적 파급력을 미치는 기반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과 현장 수준을 모두 겨냥한 국산 AI 모델 체계로의 진입은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점을 예고한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향후 K-AI 모델이 시장에 안착해 내부 경쟁력과 외부 파급력을 동시에 확보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