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한중·미중 정상회담, 경주 개최 유력”…이재명·트럼프·시진핑, APEC서 집중 회동 무게
정상회담 개최지를 둘러싼 막판 조율이 정치권과 외교무대의 새로운 충돌 지점으로 부상했다. 내달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이재명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모두 경주에서 회동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전·현직 미국 대통령과 중국 최고지도자가 동시에 한국을 찾는 만큼, 정상외교 현장이 서울이 아닌 경주로 이동할지에 시선이 쏠린다.
9월 30일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한미는 APEC 정상을 위한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양자회담을 경주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집중 조율 중이다. 이와 더불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도 방한 기간 내내 경주에 머무를 것으로 보이면서, 한중 정상회담뿐만 아니라 미중 정상회담 또한 경주에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측은 최근까지 서울신라호텔에 숙소 예약에 나섰으나 공식적으로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한미·한중·미중 정상회담 모두 서울 개최에 무게가 실렸던 점을 감안하면, 경주가 전격 개최지로 부상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재선 이후 첫 방한, 시진핑 주석으로선 11년 만의 방문인 만큼 서울에서 더 격식 있는 양자회담을 치를 것이란 관측이 많았으나, 각국 움직임이 경주에 집중되고 있다.
국빈 방문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 않은 외교 당국의 기류도 이목을 끈다. 이번 APEC 계기에 국빈 형식의 방한 일정을 최대 2건까지 검토해왔으며, 정상회담 장소가 경주로 정해진다 해도 행사 성격이나 의전 종합을 다시 점검하고 있다고 외교 관계자는 설명했다.
다만 변수도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구체적 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아, 한미·미중 정상회담 장소가 다시 변경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측은 서울 내 숙소 역시 별도로 확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중 정상회담 일정과 장소가 최종 확정된 뒤, 한미·한중 회담의 세부 사안도 연쇄 결정될 수 있다는 해석이 외교가 안팎에서 제기된다.
정상회담 장소를 둘러싼 외교전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가운데, 정치권과 시민사회는 한미, 한중, 미중 등 3자 간 외교 접점 변화가 국내외 정세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향후 각국 간 최종 조율 결과에 따라, 경주가 아시아 대화의 중심지로 부상할지 주목된다. 정부와 외교 당국은 정상회담 의전과 행사 준비 등을 다각도로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