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산 수출품 관세 92.2% 인하”…인도-EFTA 무역협정 발효, 미국 관세 압박에 대안 부상
현지시각 1일, 인도(India)와 스위스(Switzerland)·노르웨이(Norway)·아이슬란드(Iceland)·리히텐슈타인(Liechtenstein) 등 유럽자유무역연합체(EFTA) 4개국이 체결한 무역 및 경제동반자 협정이 공식 발효됐다. 이번 협정으로 EFTA는 인도산 수출품 관세의 92.2%를 줄이고, 인도 역시 EFTA산 제품 82.7%에 대해 관세를 인하한다. 미국(USA)이 인도 수출품에 최대 50%의 고관세를 적용하는 가운데, 이번 조치는 인도 수출기업의 부담 완화와 유럽 시장 진출 확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번 합의는 16년 간 협상 끝에 2024년 3월 체결돼 약 1년 만에 발효된 것으로, 2023년 기준 250억 달러에 달하던 인도-EFTA 교역 확대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EFTA 4개국은 EU에 속하지 않지만, 세계 9위 상품·5위 서비스 교역 공동체로서 인도에겐 전략적 파트너로 꼽힌다. 인도는 EFTA 내에서 EU, 미국, 영국, 중국에 이은 다섯 번째 수출 시장이다.

후속 효과도 주목된다. 협정에는 향후 15년간 EFTA가 인도에 1천억 달러를 직접 투자하고, 약 100만개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한 인도 상공부는 의약품, 의료기기, 주요 농산물 등 민감 업종에 대한 보호조항 도입 사실을 밝혀, 현지 산업 보호와 글로벌 진출을 병행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한편 미국은 지난해 8월, 인도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를 이유로 추가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총 50%의 고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인도 수출업계는 미국 조치에 따른 비용 증가 탓에 유럽 등 대안 시장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에 인도 정부는 수출제품 관세·세금 면제제도인 ‘RoDTEP’를 내년 3월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RoDTEP 제도는 2021년부터 시행돼 1만여 개 품목에 적용되고 있으며, 금융지원 확대 요구가 업계에서 끊이지 않아 왔다.
국제 금융시장과 주요 외신도 인도의 선택에 주목했다. 블룸버그와 로이터 등은 이번 무역협정이 미국 관세 압박 이후 인도의 대안 확보 전략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인도가 EFTA, EU와의 협상 진전을 토대로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존재감을 확대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정책 연장과 관세 인하로 인도 기업의 비용 구조가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인도는 최근 7%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무역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대외 무역 정책과 시장 다변화 움직임이 인도 증시와 기업 실적에 미칠 파장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이번 협정 발효가 인도와 유럽 간 경제협력 강화는 물론, 미국과의 무역 갈등 구도 속에서 인도의 외교·통상 전략 다변화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국제사회는 실질적 이행과 후속 투자 유치, 보호조항 운영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