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t급 유무인 전력모함 2030년대 확보”…해군, 중국 해양세력 맞서 전략 강화
한국 해군과 중국의 해양 세력 확장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해군이 유·무인 전력을 통합 지휘할 수 있는 3만t급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 확보 계획을 공식화했다. 10월 23일 충남 계룡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해군본부는 AI·네트워크 중심의 복합 전투체계 구상과 미래전력 강화 청사진을 내놨다.
이날 해군이 보고한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기존 유인기 운용에 머물지 않고, 전투·정찰·자폭 무인항공기를 다수 탑재해 감시·타격 능력을 대폭 끌어올리는 시스템이 특징이다. 해군은 “한국형 유·무인 전력모함은 광해역에 분산된 유·무인 전력을 실시간 네트워크 기반으로 통합·지휘하는 해양 기반 한국형 킬웹의 핵심전력 역할을 하게 된다”고 강조했다.

새 모함은 약 3만t 규모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와 공격헬기를 비롯해 무인기 외에도 다양한 상륙·지원 전력을 집적할 예정이다. 독도함, 마라도함 등 기존 대형수송함과의 연계 운용으로 통합 기동부대 편성이 이뤄진다. 침수갑판 설계로 정찰·기뢰전용 무인수상정과 고속상륙정 운용도 가능해졌다. 해군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탐지·결심·타격 체계와, 승조원 근무여건 개선 방안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아울러 중국의 서해상 해군력 확대 상황도 국방위 현안으로 부각됐다. 강동길 해군참모총장은 “중국이 질적, 양적 측면에서 (우리보다) 우위에 있다”며 “중국의 3개 함대 중 2개가 우리 인접 해역에 닿아 있고, 2000년 이후 활동력과 척수가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강 총장은 “반면, 우리는 적은 척수로 북한뿐 아니라 중국에도 대응해야 한다”며 “전투함 외에 상륙함, 군수지원함까지 출동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최근 중국이 서해 잠정조치 수역(PMZ)에 해상 구조물을 추가 설치함에 따라 군사적 확장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성일종 국방위원장은 현장에서 외교부, 해양경찰과의 협력 대처를 요구했고, 강 총장은 “알겠다”고 답했다. 해군호텔 비리 의혹에 대해서도 “부적절한 점이 분명히 있다. 수사 결과에 따라 공정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해병대는 부대 구조에 유·무인 전투체계를 적극 도입하고, 상륙돌격장갑차(KAAV-II) 모듈화와 상륙공격헬기 및 고속전투주정 등 복합 전력 조기전환을 비롯한 업무보고를 덧붙였다.
국방부와 해군은 전략 전력 확보를 통해 중국 해군의 거센 대응과 맞물린 한반도 해역 안보 강화에 나설 전망이다. 국회는 내년도 예산안 심의에서 전력모함 개발사업의 신규 반영 여부를 놓고 추가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