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이후 3년 공백 현실화”…최형두, 발사체 산업 기반 붕괴 우려
국내 우주 발사체 산업의 핵심인 누리호 발사가 2027년 종료된 이후, 최대 3년간의 발사 공백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최형두 의원(경남 마산합포)은 16일 우주항공청과 관련 자료를 토대로 산업 기반 붕괴에 대한 우려를 강하게 표했다.
자료에 따르면 누리호의 4∼6차 추가 발사 일정은 2025년부터 2027년까지 한정돼 있다. 이후 차세대 발사체는 소모형 기준 2031년, 재사용형 기준 2036년에야 투입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2028년부터 2030년 사이 핵심 발사체 운용 공백이 불가피하며, 당분간 국내 공공·민간 위성 발사 수요는 해외 발사체 의존으로 채워질 수밖에 없다.

현장에선 실제로 ‘일감 절벽’ 현상이 표면화하고 있다. 누리호 발사 엔진 연소기 납품이 대부분 마무리 단계에 이르면서 생산 장비 가동이 멈췄고, 장기 공백기 지속 시 숙련된 인력 이탈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는 우려가 터져 나온다. 최 의원은 “발사체 공급 공백이 3년이나 이어지면 기업 도산과 숙련 인력 이탈로 산업기반 자체가 붕괴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최 의원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편중된 인재 양성 체계와, 대기업에 쏠리는 발사체 산업 투자 환경,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진입장벽 등 구조적 한계도 지적했다. “항우연 중심 구조를 개선하고, 민간도 개발·상용화 단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인재 순환 구조와 리스크 분담형 투자 체계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은 누리호 추가 발사나 차세대 발사체 시험 발사를 앞당겨 이같은 공백기를 메우고, 발사 서비스 연속성 확보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우주 산업계 내부에서는 숙련 인력 이탈을 막는 동시에 민간 주도의 혁신 기반 구축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다.
정부와 국회는 누리호 발사 이후 3년간의 단절기에 대한 대응책을 본격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추가 발사 및 시험 사업의 일정 조정, 민간 참여 확대 방안 등이 주요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