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생태계 혁신 방안 마련”…과기정통부, 현장 의견 수렴 본격화
연구개발(R&D) 정책이 산업 혁신의 동력으로 주목받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현장 목소리를 정책에 적극 반영하는 행보에 나섰다. 27일 전남대학교에서 개최되는 ‘연구개발 혁신을 위한 연구현장(호남권) 간담회’는 중앙정부와 호남권 주요 연구진, 현장 인력 70여명이 참석해 미래 R&D 생태계 혁신전략을 논의한다. 업계는 이번 현장 간담회를 ‘연구현장-정부 간 정책 협력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간담회는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박인규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호남권 대표 연구자가 한자리에 모이는 자리로, 과기정통부가 마련 중인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방안’ 수립 과정에 현장 의견을 직접 반영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동안 과기정통부는 민간 자문단, 온라인 플랫폼 ‘모두의 R&D’, 현장 간담회 등 다양한 ‘바텀 업(bottom-up)’ 참여 구조를 도입해 과제 선정과 정책 대안 마련의 전 과정을 개방하고 있다.

이번 전남대학교 간담회는 앞서 전국에서 진행된 4차례 주제별·권역별 현장 간담회의 마지막 순서다. 간담회에서는 현장 중심 소통을 통해 마련된 혁신방안의 정책 방향에 대한 브리핑 후, 참석자들이 실무적 입장에서 정책을 평가하고 개선 의견을 교환한다.
출연연구기관에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도전적·창의적 연구가 살아나야 기술 주도 산업 경쟁력이 확보된다”며 “행정절차 간소화, 평가 패러다임 변혁, 수요자 중심의 예측 가능한 R&D 투자 프레임 전환”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실제로 이번 간담회에서는 연구 외 행정부담 완화, 평가제도 혁신, 연구자 수요기반 지원 등 정책 현장 접점에서 나온 목소리가 직접 논의될 전망이다.
해외의 경우, 미국이나 일본 등도 R&D 혁신 생태계 구축에서 연구자 자율성, 행정 유연성 확대가 핵심 정책 기조로 자리잡고 있어,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시사점이 크다는 분석이다. 또한 정부 차원의 투명성·지속가능성 강화가 장기적인 기술 선도력 확보로 이어질 수 있다는 평가다.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AI와 첨단기술이 지배하는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는 연구자의 자율과 창의가 국가 성장의 핵심 자산”이라며 “전문성과 자율성,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혁신 생태계로의 전환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제시될 다양한 현장 의견을 수렴, 다음달 중 ‘연구개발 생태계 혁신방안’ 공식 발표를 예고했다. 산업계는 K-연구정책이 현장 중심 패러다임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