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실패·주가 폭락에도 휴가”…국민의힘, 이재명 대통령 책임론 제기
정치적 책임 공방이 다시 불거졌다. 국민의힘은 8월 2일 이재명 대통령의 경남 거제 저도 여름휴가 강행을 두고 관세 협상 실패 및 주가 폭락 등의 경제 위기 상황에 대통령이 현안에서 멀어져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여야 간 정국 충돌이 휴가 일정 논란을 계기로 다시 고조되는 양상이다.
이날 이준우 국민의힘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이번 관세 협상으로 우리 자동차 무관세 혜택은 사라지고 농축산물 시장은 위협받게 됐다. 대미 투자는 수익 대부분이 미국으로 넘어가는 기형적 구조”라며, 정부의 통상외교 성과를 지적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산재가 자주 발생하는 기업에 대해 ‘주가를 폭락시켜야 한다’고 발언한 이후 해당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고 1천400만 개미투자자들이 패닉에 빠졌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제는 환율까지 가파르게 치솟으며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대통령이 앞서 경기도 이천 화재 시 ‘떡볶이 먹방’, 수해 사망자 발생 당일 ‘감자전 만찬’ 등 주요 민생재난 상황에서 일정을 강행하거나 위기 대응에 소홀했다며, 반복된 논란을 거론했다. 이준우 대변인은 “대통령도 물론 여름휴가를 갈 수 있다. 하지만 각종 위기 외면으로 이미 논란이 됐음에도 또다시 외면한다면 국가 지도자로서 자질을 의심받지 않겠느냐”며 “지금이라도 휴가를 취소하고 대통령으로서 임무에 충실해 주길 바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권의 공세에 대통령실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휴식도 국정운영 차원에서 필요하다는 여론이 있는 반면, 경제·민생 위기 대응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국회와 정치권은 대통령의 휴가 행보를 두고 앞으로도 치열한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국가 경제위기 국면에서 대통령 리더십과 책임론을 둘러싼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