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토, 사이버 안보 협력 공식화”…외교부 고위급 대화서 역내 위협 대응 강화
사이버 안보를 둘러싼 국제 공조가 한층 가속화되는 가운데, 외교부와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가 고위급 대화 테이블에서 맞붙었다. 한-나토 사이버 협력 심화 논의가 이뤄진 배경에는 최근 급증하는 역내 사이버 위협과 그에 따른 정책 대응 필요성이 자리잡았다.
외교부는 12일 "제2차 한-나토 고위급 사이버 대화가 지난 11일 서울에서 열렸다"고 밝혔다. 주요 참가자는 외교부 이태우 국제사이버협력대사와 북대서양조약기구 장-샤를 엘러만-킹곰베 사이버·디지털전환 사무차장보로, 양측을 각각 대표해 이번 대화의 실무 논의를 주도했다.

외교부와 나토 측은 "그간 사이버안보 분야에서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양측은 최근 동북아를 포함한 국제 사회에서 악의적 사이버 활동이 잇따르고 있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대응하는 공동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점도 언급했다.
특히 이태우 대사는 사이버 위협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며 "한국과 나토는 실질적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해 엘러만-킹곰베 사무차장보도 "상호간 신뢰에 기반한 기술 교류와 실무 협의가 앞으로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화답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고위급 대화를 한국의 글로벌 사이버 안보 위상 제고 시도로 해석한다. 전문가들은 한국과 나토의 연계가 단순한 기술 또는 정보 공유에 그치지 않고, 공동 대응 매뉴얼 마련 등 실질적 결과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외교 현장에서 사이버 안보가 핵심 의제로 다뤄지는 흐름 속에, 양측이 향후 어느 수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할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는 "나토 등 주요국과의 국제 사이버 협력을 계속 확대해 나갈 방침"임을 재차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