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법 합의 뒤집기, 당 투톱 정면 충돌”…정청래·김병기 책임공방 속 리더십 불안
특검법 개정안을 둘러싼 더불어민주당 내 갈등이 11일 수면 위로 드러났다.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이른바 ‘투톱’이 각각 책임 공방과 갈등을 노출하며 리더십 균열 우려가 커졌다.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이한 이재명 대통령의 존재감마저 뒷전으로 밀려나며 당내 혼란이 극대화됐다.
전날 국민의힘과의 특검법 수정안 합의 이후 당내 강경파와 일부 지지자들은 “내란당과 왜 그런 합의를 하느냐”며 김병기 원내대표를 집중 비판했다. 이에 정청래 대표는 “우리 지도부 뜻과 많이 다르다”고 밝히고 원내지도부에 재협상을 지시했다. 이 발언은 김 원내대표에게 논란의 책임을 묻는 뜻으로 해석됐다.

김병기 원내대표 측은 “충분히 협의가 있었다”며 “원내지도부가 단독으로 결정한 사항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특검법 합의를 알지 못했다. 정부 조직과 내란 관련 진실 규명은 거래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로써 김 원내대표는 더욱 수세에 몰렸다.
김 원내대표는 강경하게 대응했다. 그는 페이스북을 통해 “지도부와 법사위, 특위 등과 긴밀히 소통했다”고 밝혔다. 또한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하며 “정청래가 사과하라”는 입장을 언론에 보였다. 반면 정 대표 측은 “김 원내대표가 구체 내용을 세세히 공유하지 않아 핵심 내용 누락을 몰랐다”는 등 각자 책임을 벗기 위한 주장이 오갔다.
의원총회에서는 당내 강성 당원들의 사퇴 요구 시위와 문자폭탄 속에 정 대표가 “결국 당 대표 부덕의 소치”라며 도의적 사과 뜻을 전했다. 그러나 그는 김 원내대표에게 직접 사과하지 않았다. 의총에서 김 원내대표도 “사실관계를 정확히 모른 채 비난하지 말아달라”고 호소했다. 특검법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여야 합의안을 일부 반영하며, 수사 기한 연장과 인력 확대는 원안대로 처리하는 방향으로 정리됐다.
이 과정에서 여당 내내 리더십 균열 조짐이 가시화됐다. 한 초선 의원은 “대통령이 주목받아야 할 날에 당이 이러니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야권에서는 “강성 당원에 휘둘려 합의를 깼다”, “여당이 정국 경색을 자초했다”는 비판도 나왔다.
정청래 대표는 이날 저녁 “민심을 이길 자는 없다. 내란 청신은 멈출 수 없는 시대 정신”이라고 SNS에 남기며 수습 의지를 보여줬다. 그러나 당내 갈등이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여서, 향후 당 리더십과 정국 운영에 미칠 여진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향후 원내지도부 재정비와 추가 논의를 예고하며, 본회의 후속 일정과 여야 협상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