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컴퓨팅센터 약속 지켜야”…강기정, 이재명 대통령에 광주 설립 이행 촉구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를 둘러싸고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이 이재명 대통령을 향해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 유치 실패 이후 대통령실이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지만, 광주에서는 “대통령의 약속 이행”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정치권과 지역사회에서 엇갈린 해법이 오가며 갈등 양상이 분명해지는 분위기다.
강기정 시장은 24일 오전 시청 정례조회에서 “대통령께서 ‘어떤 형태로든 약속을 지키고자 하니 강구하라’고 지시했다고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전했다”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대통령의 약속인 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시장은 “공공형 컴퓨팅 자원은 집적된 광주가 유일하다”며 “AI컴퓨팅센터에 대한 우리의 목표는 변함없다. 대통령의 약속으로 남는다”고 설명했다.
전날 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국회에서 광주지역 국회의원들과 간담회를 열고 “대통령께서 ‘광주에 국가 AI컴퓨팅센터가 유치되지 못한 데 매우 안타깝다. 광주 시민들께 송구하며 광주 의원을 만나 방안을 찾아보라’고 말씀하셨다”고 밝혔다. 또 “광주에 대한 약속은 반드시 지킨다는 대통령의 의지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는 국가 데이터센터 대폭 확장, AI 연구소 설립, 실증센터 구축, 모빌리티 시범도시 같은 다양한 대안들이 논의됐다. 그러나 강 시장은 “그런 인프라 확장안과 별개로, 지금의 현안인 컴퓨팅자원 확보와 직접 연결되는 AI컴퓨팅센터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강 시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연구소 등은 동의하지만 대안이 아니라며, 대통령의 약속과 별개 사안”이라고 분명히 했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직접 소통 여부에 대해선 입장 표명을 피했다.
이처럼 광주시와 대통령실의 이견이 노출되면서, 정부의 향후 조정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대통령실은 “광주 미래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실무검토를 이어가고 있다”는 입장이고, 지역사회에서는 약속 이행이 밑돌지 않으면 반발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은 이날 AI컴퓨팅센터 설립을 두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이견이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향후 실무논의와 대안 마련 과정에서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