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브라우저까지 진출”…오픈AI, 챗GPT 아틀라스로 크롬에 도전장
AI가 웹 브라우저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오픈AI가 21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기반 웹 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를 공개했다. 챗GPT를 브라우저에 직접 내장해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했고, AI가 제품 비교, 예약, 정보 요약 등 다양한 업무를 대행하는 구조다. 업계에서는 이를 ‘AI 네이티브 브라우저’의 본격 개막 신호로 평가한다. 한동안 구글 크롬이 독점한 웹 브라우저 시장 경쟁에 새로운 국면이 시작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오픈AI의 챗GPT 아틀라스는 기존 브라우저 검색창 기능과 챗GPT의 인터페이스를 통합했다. 이용자는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해 일반 브라우저처럼 탐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챗GPT와 대화형으로 궁금한 점을 즉시 문의하거나, 현재 보고 있는 페이지의 주요 내용을 요약해 받아볼 수 있다. 더욱이 브라우저 내에 메모리를 적용해 과거 방문 기록이나 대화를 바탕으로 AI가 맞춤형 답변을 제공한다.

특히 이용자가 승인을 하면, AI가 제품 비교 분석, 예약, 구매 등 정보 탐색 이후의 실제 업무까지 대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난주에 살펴본 파티 용품을 복기하고, 필요한 정보를 정리해 차후 구매나 일정 관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같은 기능은 기존 검색 위주의 브라우저와 근본적 차별점으로 평가받는다. 오픈AI는 메모리 이용, 기록 삭제 등 개인정보 활용 통제권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고 강점도 밝혔다.
공개 초기 버전은 애플 맥OS 환경에 먼저 공급되고, 윈도 및 모바일 앱은 추후 출시 예정이다. AI 업계는 오픈AI가 기존에 챗GPT로 확보한 글로벌 주간 이용자수 8억명을 기반으로 웹 브라우저 패권에 도전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AI 브라우저 도전에 앞서 퍼플렉시티가 최근 ‘코멧’을 선보였지만, 시장 영향력 측면에서는 크롬의 지배력을 흔들지 못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2024년 6월 기준 전 세계 PC·모바일 통합 브라우저 점유율은 크롬이 71.9%로 압도적이고, 사파리(13.9%), 마이크로소프트 엣지(4.7%)가 뒤를 잇는 구조다. 이 구조가 AI 브라우저 도입으로 속도감 있게 변화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웹 브라우저가 검색 엔진 접속의 관문이라는 점에서, 챗GPT 아틀라스가 직접 정보 요약과 실행을 제공하기 시작하면 구글 검색 유입 감소, 광고 수익 하락 등 시장 구조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실제로 오픈AI의 발표 직후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주가가 4% 이상 하락하는 등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산업 현장에선 AI 네이티브 브라우저 도입이 검색·쇼핑·컨시어지 등 기존 인터넷 서비스 작동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브라우저에 AI가 직접 내장되면서 정보 탐색부터 의사결정, 실질적 작업까지의 밸류체인이 통합될 수 있어, 웹 생태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게 IT업계의 중론이다. 산업계는 이번 AI 브라우저 도입이 실제 시장 경쟁 구도를 뒤바꿀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