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위, 부산 개최 확정”…윤석열 대통령실 “문화강국 책임 다할 것”
문화외교의 무대에서 한국과 국제 사회의 이해관계가 맞붙었다. 대통령실이 유네스코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 개최 결정에 환영 입장을 밝히며, 부산 유치의 정치·외교적 의미가 강조되고 있다. 내년 7월 부산에서 예정된 회의에는 3천명 규모의 세계 각국 대표단과 전문가들이 참석할 전망이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16일 브리핑에서 “올해는 석굴암, 불국사, 종묘 등 우리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오른 지 30주년이 되는 해”라며, “세계유산위원회가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것은 처음으로, 문화강국 대한민국을 알리는 역사적 순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국내 문화유산 보호 노력을 국제적으로 부각하고, 세계문화유산 정책의 전환점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강 대변인은 이어 “세계유산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소중한 문화 자산이며, 기후 위기와 도시화, 개발 압력 속에서 어느 때보다 지속적 보호가 필요하다”며 “대한민국도 글로벌 문화 강국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적극적 유엔 외교 및 문화강국 이미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1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회의에서 48차 위원회 개최국으로 한국을 선정했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문화·자연유산을 주제로 196개 협약국 대표단, 유네스코 사무총장, 학계, NGO 관계자가 참석해 매년 주요 의제를 논의하는 국제 행사다.
정치권에서는 유네스코 주요 회의를 부산에 유치함으로써, 지역 위상 제고는 물론, 문화산업 성장과 K-컬처의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제기됐다. 다만 기후변화나 개발 이슈에서 국제적 책임과 역할 요구가 높아지는 만큼, 실질적 문화유산 보전 정책의 실현 여부에 각계 시선이 쏠리고 있다.
향후 대통령실과 정부는 행사 준비에 속도를 내는 한편, 국제사회와의 문화 공조 확대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다. 문화유산위원회 부산 개최와 글로벌 문화강국 전략을 둘러싼 논의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이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