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전산망 복구율 84.6%”…국정자원 화재 여파 속 단계적 정상화

김서준 기자
입력

정부 전산망 시스템의 단계별 복구가 속도를 내며 서비스 정상화가 본격화됐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전국 709개 공공 시스템에 일시적 장애가 발생했고, 이에 대응한 복구 작업의 진척 상황이 업계와 국민 모두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9일 오후 6시를 기준으로 총 600개 시스템이 복구돼 전체 평균 84.6%의 정상화율을 기록했다. 이번에 추가 복구된 시스템에는 소방청의 119구급스마트시스템과 119구급통합상황관리, 구조구급활동정보, 국가긴급이송정보망 등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핵심 서비스들이 집중 포함됐다.

 

복구 단계별 세부 수치도 공개됐다. 1등급 서비스에서는 40개 중 38개, 2등급에서는 68개 중 59개가 복구돼 각각 95.0%, 86.8%의 비율을 보였다. 3등급과 4등급 시스템도 각각 219개(83.9%), 284개(83.5%)가 정상화됐다. 이외에도 국무조정실의 2050 탄소중립위원회 홈페이지, 교육부 한국유학종합시스템, 해양수산부 선원자격증명포털 등 다양한 부처의 주요 공공 서비스가 다시 운영을 시작했다.

화재 사고로 인한 대규모 전산망 장애는 국가 운영의 디지털 의존도를 실감케 하는 계기가 됐다. 중앙조달, 긴급구조, 행정 문서, 공공 플랫폼 등 현대 공공 인프라의 근간이 전산시스템에 있기 때문이다. 사고 직후부터 정부와 민관 협력팀이 24시간 복구 작업에 매진했으며, 특히 데이터 훼손 최소화와 핵심 서비스 우선 복구 원칙을 적용해 서비스 연쇄 중단을 막고 있다.

 

글로벌 IT 인프라 서비스 기업들은 국가 단위 데이터센터 장애 시 대응 체계 확립과 멀티리전 분산 운용, 백업 시스템 이중화 등을 일반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우리 정부 역시 이번 사고를 계기로 서비스 가용성 향상과 재난분산 시스템 강화 논의가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행정안전부 내부에서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서비스 복구를 최우선 목표로 삼아 점진적으로 안정화 작업을 지속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대규모 전산망 복구 속도가 공공 신뢰와 산업·행정의 디지털 전환 수준을 가늠하는 바로미터가 되고 있다고 진단한다. 산업계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공공 IT 인프라 전반의 안정성 제고와 운영체계 혁신 여부를 지켜보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전산망복구#행정안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