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당일 의총장소 번복 집중 추궁”…추경호 23시간 조사, 내란 의혹 정면 충돌
정치적 책임 공방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조은석 특별검사팀과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맞붙었다. 2025년 10월 30일부터 31일 오전까지 약 23시간에 걸친 집중 조사가 진행됐고, 계엄 선포 당일 의총장소 변경 논란이 정치권의 격랑을 예고했다.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혐의를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전날 오전 9시 58분부터 이날 오전 8시 45분까지 추경호 전 원내대표를 피의자 자격으로 소환해 밤샘 조사를 벌였다. 실질 조사는 오후 9시 25분경까지 이뤄졌으나, 추 전 원내대표 측이 조서 열람과 수정, 추가 기재를 매우 상세히 하면서 마무리까지는 10시간 35분이 더 소요된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 조서 분량은 171쪽에 달했고, 추 전 원내대표가 별도로 자필 진술서까지 추가로 제출하며 조사 열기가 이어졌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조사 직후 기자들과 만나 "계엄 당일 있었던 사실관계에 대해 소상히 설명했다"면서 "정권은 정치탄압과 보복을 멈추고 민생을 챙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특검의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별도 답변은 내놓지 않았다. 조사 기간 동안 장동혁 대표, 정희용 사무총장, 박준태 비서실장 등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서울고등검찰청 청사 앞에 대기하며 긴장감을 내비쳤다.
진상 규명의 중심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 등 당·정 고위 인사들과의 연락 및 의총 장소 번복이 있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는 계엄 선포 직후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국회에서 당사로, 다시 국회, 그리고 또 당사로 세 차례 번복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국민의힘 의원들이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면서, 해제 요구 결의안이 108명 중 90명이 빠진 채 재석 190명, 찬성 190명으로 아슬아슬하게 가결됐다. 특검은 추 전 원내대표가 윤석열 전 대통령, 한덕수 전 국무총리, 홍철호 전 정무수석 등과 연이어 통화한 정황도 집중적으로 살피고 있다.
추경호 전 원내대표 측은 "계엄 사전 인지는 없었고, 윤 전 대통령과 표결 방해를 논의한 사실도 없다"고 부인하고 있다. 그는 이어 "의총 장소 변경은 최고위원회의 일정 및 국회 출입 통제 등으로 불가피했다"고 해명했다.
야권과 민간 진상조사단에서는 "국회 의결 방해 행위로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든 사건"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반면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정치적 탄압 의도가 다분한 수사"라며 결백을 주장하고 있어 양측의 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정치권과 법조계에서는 계엄 밤에 벌어진 의총 번복과 고위 인사 연락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조은석 특검팀은 이날 김희정 국민의힘 의원도 조사했다. 김 의원은 계엄 해제 표결에 불참하고 추 전 원내대표와 함께 원내대표실에 머무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특검이 청구한 김 의원에 대한 공판 전 증인신문은 자진 출석 의사에 따라 철회됐다. 이 밖에도 한동훈 전 대표, 김태호, 서범수, 김용태 의원에 대한 공판 전 증인신문은 계속될 예정이다. 특검팀은 "추 전 원내대표를 조사했어도 공범 관련해선 증인신문을 예정대로 하겠다"며, "현재로서는 공범 여부를 단정 짓기 어렵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추경호 전 원내대표와 주요 의원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혐의 유무를 판단하고, 입증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형사소송법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전했다.
이날 특검팀과 국민의힘의 공방은 정면 충돌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여야는 계엄의 밤 의결 방해 논란을 두고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으며, 향후 특검의 결론이 정국의 새로운 뇌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