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대·전방 시야 없이도 주행”…GM, 자율주행 한계 넘고 AI 서비스 확대
현지시각 22일, 미국(USA) 자동차업체 GM은 2028년형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에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아도 주행 가능한 ‘무전방주시’ 자율주행 기능과 구글 ‘제미나이’ 기반 인공지능(AI) 서비스를 탑재할 계획을 밝혔다. 이번 발표는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성과 편의성, 그리고 차량 내 AI 서비스의 미래를 둘러싼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하면서 북미 자동차 시장과 글로벌 IT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GM은 이번 신형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에서, 기존 ‘수퍼 크루즈’ 핸즈프리 자율주행 시스템보다 진화한 단계의 기술을 선보인다. 해당 기능은 고속도로 등 특정 조건에서 운전자가 핸들에서 손을 떼고 전방을 바라보지 않아도 차량이 주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GM은 “테슬라 등 경쟁사 대비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 중복 센서를 적용해 안전성을 높였다”는 점을 강조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수퍼 크루즈 누적 주행 7억 마일 동안 시스템 문제로 인한 사고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는 설명도 더했다. 최근 북미 시장에서 100만㎞가 넘는 핸즈프리 주행 도로 인프라를 구축한 GM은, 이런 실적을 기반으로 무전방주시 자율주행의 신뢰도를 부각시켰다.

이번에 준비하는 신차에는 중앙집중형 컴퓨팅 시스템이 적용돼 데이터 처리 효율성과 실시간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된다. GM은 “시스템 전체를 통제할 수 있는 일체화 컴퓨팅 시스템 구축이 앞으로 차량 전장화와 자율주행 가속화의 필수 요소”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2025년 출시 예정인 신차부터는 구글(USA)의 대화형 AI 서비스 ‘제미나이’가 탑재된다. 음성 명령만으로 메시지 전송, 내비게이션 경로 설정, 전기차(EV) 충전소 탐색, 레스토랑 추천, 차량내 공조기 제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 운전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 등 경쟁사들도 차량내 AI 솔루션을 속속 도입하고 있지만, GM과 구글의 협업이 실제 차량 환경에서 어떤 경쟁 우위를 보여줄 지 주목된다.
미국 자동차 시장과 기술업계는 GM의 이번 발표에 즉각 반응했다. 로이터통신은 “운전자의 전방 주시 의무를 해제한 점이 완전자율주행 전환의 마중물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월스트리트저널도 “주행 안전성과 AI 서비스 접목이라는 두 가지 축에서 미래 모빌리티 변화가 이뤄지는 전환점”이라 평가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신뢰성 논란과 ‘운전자 책임 범위’ 재설정이 사회적 쟁점이 될 가능성을 지적한다. 미국 교통당국은 “기술 진화에 맞는 안전기준과 보험, 도로 교통법 개정이 앞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자동차 전자·IT업계의 협업이 본격적인 산업 지형 재편을 촉진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기술 발표는 GM 차량과 업계, 그리고 교통의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완전자율주행과 차량 내 AI 서비스 영역을 둘러싼 세계 주요 기업 간 경쟁과 규제 논의가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