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운영 긍정 69.1%”…이재명 대통령, 중도층 흡수하며 지지층 확산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둘러싸고 여야의 시각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전국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10명 중 7명 가까이가 ‘긍정’ 평가를 내려, 정치적 입지 확대와 함께 야권의 해석 공방에도 불이 붙었다. 이 같은 지지율 변화는 한국 정치에 고착된 지역·이념 구도의 균열로도 비춰진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론조사꽃’은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4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가 69.1%, ‘부정’은 29.2%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긍·부정 격차는 39.9%포인트로 지난해보다 더욱 벌어졌다는 평가다.
![[국정 지지율]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 69.1%…중도층 중심 확산(여론조사꽃)](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03/1762135412578_556883777.png)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권역별로는 대구·경북 지역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호남권은 87.5%의 압도적인 긍정률을 기록했고, 경인권 74.8%, 강원·제주 70.8%, 충청권 67.1%, 서울 65.1%, 부·울·경 62.8%도 60%를 넘겼다. 대구·경북에서는 긍정과 부정이 비슷하게 갈렸다.
연령별로는 모든 세대에서 긍정평가가 높았다. 40대(86.5%)와 50대(80.4%)가 특히 두드러졌고, 30대(68.7%)·60대(67.4%)·18∼29세(54.1%)·70세 이상(52.5%) 등에서도 과반이 국정운영에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성별로도 남성(71.9%)과 여성(66.3%) 모두 상승세였다.
정당 지지층으로는 더불어민주당에서 96.9%가 긍정 의견을 보인 반면, 국민의힘 지지층은 부정 평가(72.8%)가 압도적이었다. 무당층은 긍정 50.0%, 부정 41.9%로 엇비슷했으나 긍정 쪽이 근소하게 우세했다. 이념성향별로는 진보층 91.7%, 중도층 74.9%가 긍정 평가를 내놓아 진보·중도 연합 구도가 두드러졌다. 보수층은 부정이 60.0%로 나타났다. 특히 중도층에서 긍정 평가가 지난 조사 대비 2.4%포인트 늘고, 부정은 3.4%포인트 줄면서 격차가 52.0%포인트까지 확대된 것이 특징이다.
같은 기간 ARS조사에서도 긍정 평가가 상승했다. 긍정 62.5%, 부정 35.4%로, 긍정 평가가 전월 대비 3.7%포인트 늘었고, 부정은 4.6%포인트 줄었다. 지역별로 호남권 71.5%, 경인권 66.7%, 강원·제주 65.4%, 서울 63.1%, 부·울·경 59.2%, 충청권 58.1% 순으로 긍정 비율이 절반을 넘겼다. 대구·경북에서는 긍정(47.5%)이 부정(46.0%)을 앞서며 역전세를 이뤘다.
연령별로는 50대(79.2%)와 40대(72.2%)가 특히 높았고, 70세 이상(63.9%)과 60대(61.9%)·30대(55.3%)도 과반을 기록했다. 18∼29세 역시 긍정(36.2%)이 5.4%포인트 오르며 긍·부정 격차가 축소됐다. 정당 지지별로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은 긍정 97.5%로 결집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은 부정이 89.9%로 절대 다수였다. 이념성향별로 진보와 중도에서 긍정 우세, 보수층은 부정이 컸다. 특히 중도층의 긍정평가가 5.3%포인트 상승해 긍정·부정 격차가 더욱 커졌다.
이재명 대통령 측은 지속적인 중도층 공략과 정책 성과를 주요 요인으로 꼽으며, “중도·무당층의 안정적 확장이 국정운영 기반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국민의힘 관계자는 “지지층의 결집 현상이 뚜렷하게 확인된 것일 뿐, 2030 등에서 여전히 아쉬움이 남는 결과”라고 주장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지지율 결과를 내년 총선 구도와 정책 추진력에 중대한 시그널로 해석하며, 여야 모두 중도층과 무당층 민심 쟁탈전에 집중할 전망이다.
이날 국회는 이재명 대통령 국정운영 평가를 둘러싼 정당별 해석 차이를 보였으며, 정치권은 지지율 흐름을 주시하며 향후 정국 방향을 타진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