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석, 6년 전 KAIST 총장에 접근”…JMS-과학계 연루 의혹 재점화
여신도를 성폭행한 혐의로 징역 17년형이 확정된 기독교선복음교회(JMS) 정명석 총재와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간의 과거 만남이 국정감사에서 다시 도마에 오르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2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광형 KAIST 총장에게 “임기 만료를 앞두고 정명석과의 만남 관련 제보가 잇따르고 있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박 의원은 “정명석과 만났던 사실, 암흑물질과 영적인 이야기를 나눴다는 부분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 총장은 “6년 전 부총장 재임 시절 정명석 측에서 저를 포섭하려고 계획적으로 접근했다고 생각한다”며, “우주 암흑물질과 관련한 영적인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정명석을 직접 소개받아 만났다. 이후 학교 신문을 통해 공식 입장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 “종교인으로 알고 만났지만, 그 만남 자체가 부적절했다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정명석은 2018년 2월부터 2021년 9월까지 충남 금산 수련원에서 외국인 및 한국인 여신도 3명을 성폭행·추행한 혐의로 23차례 기소돼, 최근 징역 17년형이 확정됐다. 1945년생인 정명석은 이번 확정 판결로 남은 생을 수감 생활로 보내게 될 전망이다.
앞서도 정명석은 준강간·준유사강간 등으로 1심에서 23년, 2심에서 징역 17년을 선고받았으며, 항소심까지 모두 형이 확정됐다. 또한 JMS 수련원 ‘월명수’ 약수터 물을 병에 담아 판매하며 20억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얻은 혐의로도 재판 절차를 밟고 있다.
이번 사건은 사이비 종교 지도자와 학계 인사 간 연루 의혹을 촉발시키며 사회 전반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민사회는 “JMS와 유사 종교집단의 조직적 포섭 시도에 대한 경계와 제도적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앞으로 유사 사건 재발 방지 대책과 종교단체와 공적 기관 간 경계가 보다 명확히 설정돼야 한다는 과제가 남는다. 경찰과 관계 기관은 유사 사례의 재발 방지와 추가 피해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