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의약품 관세 100% 압박”…실제 시행시 바이오 산업 대변화 예고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수입 의약품에 최대 10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산업계에 거센 파장이 일고 있다. 관세 적용은 이달 1일부터로 예고되었으나, 정작 시기와 구체적 적용 방안이 명확히 공개되지 않아 업계 전반에는 불확실성이 커지는 모습이다. 각국 제약·바이오 기업과 관련 기관들은 “이번 카드가 실제 글로벌 의약품 공급망 재편의 분기점이 될 수도 있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자국 생산을 강화한다며, 미국에 공장을 짓지 않은 제약사의 브랜드·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했다. 실제 ‘수입 목재’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당초 소셜미디어에서 발표했던 높은 관세율·즉시 시행 예고와 달리, 이후 포고문에서는 시행일이 다소 연기됐고, 관세율 역시 일정 기간 점진적으로 높이는 방식이 택해졌다. 이번 의약품 관세 역시 시행 시기 유예, 적용 범위 제한, 단계적 인상 등 선택지가 열려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기술적으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전 세계 생산·유통망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한 국가의 일방적 관세 인상 방침이 실제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유럽연합이나 일본 등 미국과 공식 무역협정을 맺은 국가는 ‘15% 미만 관세’ 상한이 적용될 전망으로, 국가·제품별 차등 적용 가능성이 높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이번 사안에 대해 “당초 고율 부과 방침과 달리 예외 또는 유예기간이 마련될 개연성이 있다”며, ‘100% 관세’가 브랜드·특허의약품에만 적용되고 일정 기간 단계적으로 오를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대상 제약사와 품목, 국가별 관세율, 시행 일정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현지 공장 신설, 기존 공급망 수정, 가격 재조정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응 전략을 세우는 모습이다. 미국과 무역 마찰 조정 과정에서 업계·정부 간 협상과정이 길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 수입 목재 사례에서 관세율이 한차례 하향·시행일 연기가 있었던 점에 주목하며, “제약·바이오 업계 역시 최종 포고문 발표 때까지 정부·기관 대응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미국 행정부의 강경 조치가 실제 글로벌 바이오 생태계 경쟁 구도에 영향을 미칠지, 혹은 정치적 유동성 속 일시적 압박에 그칠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조치가 실제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글로벌 시장질서의 교차점에서 새로운 대응 전략이 요구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