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 청사진”…국토교통부, 실증도시 구축 확대→기술 진화 촉진

신유리 기자
입력

자율주행 시대의 문은 점점 넓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중심이 돼 17개 광역 시도,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주요 부처와 함께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지구 광역 협의체 회의를 열고, 미국·중국과 견줄 대규모 실증도시 구축에 나서겠다는 청사진을 구체화했다. 업계 관계자, 정책 담당자, 운수업계 등 각계의 목소리를 담아 대도시 단위에서 제한 없는 실증이 가능해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그동안 자율주행 실증은 도로에 차량이 적은 시간대, 정해진 노선을 중심으로 조심스럽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는 돌발적이고 예외적인 상황, 즉 엣지 케이스에서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축적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협의체는 100대 이상 차량을 투입해 도시 전체에서 자율주행 실증을 확대하고, 택시 및 버스 등 기존 운수업계와의 상생 방안, 어린이보호구역 등 특정 지역의 규제 해소, 실증을 위한 차량 플랫폼 제공 등 기업 지원까지 폭넓게 논의했다.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 청사진…국토교통부, 실증도시 구축 확대→기술 진화 촉진
대규모 자율주행 실증 청사진…국토교통부, 실증도시 구축 확대→기술 진화 촉진

이와 함께 협의체는 글로벌 완성차 및 자율주행 기술기업의 국내 진출에 대비하기 위해 국내 서비스 산업의 제도화·고도화 필요성에도 뜻을 모았다. 해외 자율주행차가 들어올 경우 기존 운수 사업자는 차량의 운영·유지관리 등에서 기술적 난점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차량 원격관제, 긴급출동 및 유지보수 등 자율주행차 특화 인프라 마련 역시 중대한 과제로 꼽혔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2월 실증도시 추진 방안과 함께 자율주행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 대책을 순차적으로 내놓을 것으로 예고했다. 임월시 자율주행정책과장은 “기술 수용성과 제도적 뒷받침, 지역 협력이 맞물릴 때 자율주행 산업의 실질적 성장도 도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유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토교통부#자율주행#실증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