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학적 위기 돌파, 아세안+3 협력 중요성 부각”…이재명 대통령, 역내 연대 강조
지경학적 위기를 둘러싼 국제 협력의 향방을 두고 동아시아 주요국 정상들이 맞붙었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공급망 재편,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 글로벌 위험 속 연대를 촉구했다. 이번 아세안+3(한국·중국·일본과 아세안 회원국) 행사에서는 경제·금융 협력 정상성명이 채택됐으며, 각국 정상들은 초국가범죄, 기후위기 등 복합적 도전에 공동 대응 의지를 드러냈다.
이재명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 우리는 보호무역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지경학적 위기에 봉착해 있다”며 “아세안+3(한중일) 협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역내 경제·금융협력 강화를 겨냥한 정상들의 합의문 채택을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고령화와 저출산, 국가 간·세대 간·계층 간 디지털 격차,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식량·에너지 위기, 초국가범죄 등 다양한 도전 과제가 일상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진단하며, “사반세기 전 아세안+3 출범을 낳았던 협력과 연대의 정신을 되새기며 슬기롭게 위기를 극복하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스캠센터 등 조직적 범죄단지를 중심으로 한 초국가범죄가 수많은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한국은 아세아나폴(아세안 경찰 협력체)과 긴밀히 협력하겠다. 아세안+3의 관심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초국가범죄 대응을 중심으로 한 구체적 연대 방안이 주요 의제로 부상했다.
한편, 미일 정상회담 준비 일정으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일찍 귀국하면서 이재명 대통령과의 전격 조우는 무산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회의장에서 리창 중국 총리,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취임 후 처음 만나 반갑다”며 인사를 나눴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방한, 다카이치 총리의 APEC 참석 등 한중일 정상 간 교류가 아세안+3 협력으로 확장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아세안+3 정상이 다양한 분야에서 공동 대응 의지를 확인하면서, 역내 정치·경제 협력 강화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초국가범죄 대응 및 한중일 협력 확대를 위한 구체 정책을 검토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