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상승”…미 고용지표 호조에 나스닥·테슬라·엔비디아 회복
경제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상승”…미 고용지표 호조에 나스닥·테슬라·엔비디아 회복

장예원 기자
입력

7월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가 개장 초반 3대 주요 지수 모두 오르며 투자 심리가 되살아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S&P500, 나스닥, 다우존스 등 주요 지수가 나란히 상승세를 이어간 가운데, 테슬라와 엔비디아 등 대표 기술주가 다시 강세로 돌아서며 시장의 회복 기대감을 자극했다. 반면 아이온큐 등 일부 종목은 급락세를 면치 못해, 성장주 투자 열기 속에서도 변동성은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뉴욕증권거래소 9시 45분 기준, S&P500은 전일 대비 28.09포인트(0.45%) 오른 6,255.51, 나스닥종합지수는 98.7포인트(0.48%) 상승한 20,491.83을 각각 기록했다. 다우존스지수도 191.27포인트(0.43%) 올라 44,675.69에 거래되며 3대 지수 모두 견고한 상승 흐름을 나타냈다. 기술주 비중이 높은 나스닥100은 22,749.11(107.23포인트, 0.47%↑)까지 올랐고, 소형주 중심의 러셀2000 역시 2,242.19(15.81포인트, 0.71%↑)로 급등, 투자 심리 확산을 보여줬다. 변동성 지수(VIX)는 2.10% 내린 16.29로 불안감 진정세가 감지됐다.

[표] 뉴욕증시 주요 지수
[표] 뉴욕증시 주요 지수

이 같은 장세는 6월 미국 노동부 비농업 고용이 14만 7,000명 증가(예상 11만 명)라는 ‘고용 서프라이즈’가 결정적 배경으로 작용했다. 실업률도 전월 대비 0.1%포인트 하락한 4.1%(예상 4.3%)로 집계됐다. 경기 연착륙 기대감이 살아나며 투자자들은 위험자산 선호로 선회하는 분위기다. 다만 고용지표 호조에 따라 미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일부 후퇴했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는 7월 FOMC 기준금리 동결 확률이 발표 전 76%에서 95%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 성장주인 테슬라는 315.8달러(0.05%↑)로 소폭 반등해 여전히 서학개미 보관금액 27조 5,059억 원 1위를 지켰다. 엔비디아는 157.91달러(0.42%↑), 애플 212.77달러(0.15%↑), 마이크로소프트 493.87달러(0.57%↑) 등 IT·테크 대장주 전반에 온기가 돌았다. 레버리지·반도체 ETF 역시 1% 넘는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아이온큐는 2.49% 급락해 43.64달러로 떨어졌으며, 하루 새 2,417억 원의 국내 투자자 보관금액 이탈이 집계됐다.

 

ETF 쪽에서는 뱅가드 S&P 500 ETF·슈왑 미국 배당주 ETF·SPDR S&P 500 ETF 모두 0.2~0.5% 상승했고, 브로드컴(0.82%), 아마존(1.13%), 메타플랫폼(1.11%)도 강한 흐름을 이어갔다. 다만 디렉시온 데일리 테슬라 강세 1.5배 ETF(-0.13%) 등 일부 레버리지 종목은 부진했다. 상위 50종목 합산 보관금액은 126조 5,431억 원으로 최근 집계일보다 3조 5,128억 원 감소했다. 이는 최근 급격한 주가 하락 및 매도세 여파가 반영된 결과다.

 

환율도 동반 변동 중이다. 7월 3일 기준 원·달러 환율이 1,365.6원으로 하루 새 9.6원 오른 것은 미국 고용지표 호조와 달러 강세가 복합적으로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고용지표 강세에 경기 침체 우려가 줄었지만, 연준의 정책 금리 동결 가능성이 더 높아진 만큼 단기적 추가 상승보다는 종목별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테슬라·엔비디아 등 주도주의 반등을 계기로 위험자산 선호 흐름이 이어질 수 있다”면서도 “아이온큐 등 일부 테마 종목의 조정은 언제든 반복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7월 FOMC 등 미국 통화정책 방향과 이어질 실적 발표 시즌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향후 정책과 지표에 따른 글로벌 자금 이동과 추가 변동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뉴욕증시#테슬라#엔비디아